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7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도덕윤리과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2902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Neuroethical considerations on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 저자[authors] 추병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도덕윤리과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3-6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Major issues in neuroethical debate concerning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were buried in the broader ethical issues on human enhancement such as safety, side effects of drugs, justice and fairness, and social pressures. Because such problems are not uniquely related to mood enhancement, ethical issues of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cannot be shown more sharply. In fact, neuroethical issues that are uniquely specific to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may be the issues of authenticity, identity, and self. In this regard, this article focused on analyzing neuroethical issues of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After a brief conceptual and historical overview of mood enhancement, neuroethical issues of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 the improvement of mood and related mental functions by means of pharmaceuticals - are analyzed in a systematic fashion.

국문 초록[abstracts]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논쟁에서 주요 이슈는 안전성, 의약품의 부작용, 정의와 공평, 사회적 압력 등과 같은 인간 향상의 일반적인 윤리적 문제에 매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 문제는 기분 향상에만 특수한 것이 아니기에, 기분 향상이 지니고 있는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더욱 명료하게 부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사실 기분 향상에 더욱 특수하고 구체적인 신경윤리학적 문제는 진정성, 정체성, 자아의 문제일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이 지니고 있는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심리 상태나 특성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려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의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규명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27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9
4526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1
4525 8 환자 의사 관계 커뮤니티케어에서 의사의 역할이 왜 중요한가? / 이건세 2019  134
4524 9 보건의료 문케어, 의료비 부담 낮출 수 있을까 / 홍석철 2019  71
4523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2019  955
4522 1 윤리학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칸트의 덕론 / 노영란 2019  184
4521 1 윤리학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본 북한의 인권 문제 / 추정완 2019  85
» 17 신경과학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추병완 2019  481
4519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34
4518 17 신경과학 국내 보건학 분야의 “정신 건강” 연구: 측정과 관점 / 임은정 2019  204
4517 14 재생산 기술 코호트 완결출산율 분석 결과와 시사점 / 신윤정 2019  74
4516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4515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7
4514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4
4513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51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박은철 2019  223
4511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3
451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2019  418
4509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5
4508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