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9066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칸트의 덕론
= Kant’s Doctrine of Virtue as the Moral Doctrine of Ends

  • 저자[authors] 노영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9No.-[2019]

  • 발행처[publisher] 대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3-15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etaphysics of Morals Kant calls ‘an end that is also a duty’ as duty of virtue and he considers the doctrine of virtue to be the moral doctrine of e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eatures of the doctrine of virtue as the moral doctrine of ends and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virtue within the whole system of Kant’s moral philosophy. For this I shall grasp the concept of virtue as the capacity and the considered resolve to choose and pursue moral ends and then I shall look into the possibility and operation of the moral ends. And I shall explore the practical roles of end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ends and motives and identify the doctrine of virtue to be the moral doctrine of motives. In the doctrine of virtue as the moral doctrine of motives ends play a role in relating will to emotion. The doctrine of virtue shows that acting from duty is not the blind obedience of the moral law but the free choice of rational being. Then I shall explore the theoretical roles which ends have in relation to value and the way how consequence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e doctrine of virtue as the value theory based on deontology. The examination of this paper reveals that ends in the doctrine of virtue have both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roles and that the doctrine of virtue as the moral doctrine of ends is both the moral doctrines of motives and value which deal with the morality of rational natural beings.

국문 초록[abstracts]
칸트는 도덕형이상학에서 의무인 동시에 목적인 것을 덕의무라고 하고, 덕의무를 다루는 덕론을 도덕적 목적이론으로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칸트의 덕론에서 목적이 하는 역할을 통해 도덕적 목적이론으로서 덕론이 가지는 성격을 고찰하고 덕론이 칸트윤리학 체계에서 어떻게 이해되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덕의 개념을 살펴보면서 덕이 도덕적 목적을 선택하고 추구하는 결의와 능력임을 보이고 이러한 목적의 가능성과 작용을 살펴본다. 그리고 목적과 동기의 관련성을 탐색하면서 목적의 실천적인 역할과 덕론이 가지는 도덕적 동기이론으로서의 성격을 확인한다. 도덕적 동기이론으로서 덕론에서 목적은 의지와 감정의 결합에 작용하며 의무로부터의 행위는 도덕법칙에 대한 맹목적인 복종이 아니라 이성적 존재의 자유로운 자의에 따른 수행으로 드러난다. 나아가서 가치에 관련되는 목적의 이론적 역할을 살펴보고 의무론에 근거한 가치이론으로서의 덕론에서 결과가 고려되는 방식을 확인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도덕적 목적이론으로 제시되는 덕론은 이성적 자연존재의 도덕성을 다루는, 도덕적 동기이론이자 도덕적 가치이론으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28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5
127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916
126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60
125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124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000
12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122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2011
121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6
120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
119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4
118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83
117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85
116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5
115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59
114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76
113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98
112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11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110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13
109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