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9056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관계론적 접근
= The Moral Standing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Relational Approach

  • 저자[authors] 신상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49No.-[2019]

  • 발행처[publisher] 대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3-27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nd suggests an approach to interpret and make sense of such experiences. Recognizing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machines amounts to the acknowledgment of some kind of alterity relation to those machines. It is to give certain moral status to the machine. This paper examines two approaches to the moral status of emotional AI robots. The realist view, which is the standard position, asks whether AI robots actually possess emotion and consciousnes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relevant properties being to the moral status. According to realism, there is a correct answer to this question, which depends on whether AI robots actually have those properties, and the moral status of the AI robots is determined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e transition to a relational approach such as the one claimed by Mark Coeckelbergh,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applying realistic approach to AI robots. According to the relationalism, the moral status of an entity is constructed through our daily experiences practiced in our forms of life, prior to the categorization of science or philosophy. It is regarded as something that grows out of the concrete interactions and relations between humans and that entity. Changes in the moral status of any being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growing relations, which is at the same time the growth of a new form of life.

국문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인공지능 로봇을 중심으로 인간-기계 사이의 정서적 상호작용 및 감정적 관계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러한 경험을 해석하고 의미화 할 수 있는 한 가지 접근 방법을 모색한다. 인간-기계 사이에 정서적 상호작용을 인정한다는 것은 기계에 대해 모종의 타자성 관계를 인정한다는 말이다. 이는 기계에게 일정한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는 일이다. 본 논문은 감정 로봇의 도덕적 지위와 관련하여, 실재론과 관계론의 두 가지 입장을 살펴보고 평가한다. 표준적 입장이라고 할 수 있는 실재론적 견해는 감정이나 의식과 같은 도덕 지위와 유관한 속성을 AI로봇이 실제로 갖고 있느냐의 여부를 질문한다. 실재론의 입장에 따르면, 이 질문에는 AI 로봇이 해당 속성을 실제로 가지고 있느냐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올바른 대답이 존재하며, AI 로봇의 도덕적 지위는 그에 따라 객관적으로 결정된다. 이 논문은 실재론적 입장을 인공지능 로봇에게 적용하였을 경우에 생기는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마크 쿠헬버그(Mark Coeckelbergh)가 주장하는 관계론적 접근으로의 전환을 제안한다. 관계론에 따르면, 어떤 존재자의 도덕적 지위는 과학이나 철학의 범주화에 앞서 우리의 삶의 양식 속에서 실천되는 일상적 경험을 통하여 구성(construct)되는 것으로, 이는 인간과 해당 대상 사이의 구체적 상호작용이나 관계 맺기의 토양 위에서 자라나는 것이다. 그런 만큼 어떤 존재에게 일어나는 도덕적 지위의 변화도 새로운 삶의 양식의 발전과 동시에 일어나는 관계의 자람으로 이해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88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3387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위헌성 / 허완중 2018  357
3386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질의 재산권의 허용범위와 그 이용을 위한 관련법규의 정비방안 / 이정현, 박인걸 2010  357
3385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6
3384 9 보건의료 한국의 예술치료와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창곤 2015  356
3383 20 죽음과 죽어감 실존주의 철학에서의 죽음 이해와 죽음교육 / 신교남 2018  355
3382 14 재생산 기술 비배우자간인공수태술에 대한 의학적 · 법적 문제점 / 김향미 2007  355
338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3380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 활용, 어디까지 왔나? / 권웅기, 김훈태 2017  354
3379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생태윤리에 대한 연구 : 『책임의 원칙』을 중심으로 / 윤동진 2003  354
3378 15 유전학 법과학적 활용을 위한 식물 유전자검사 시험법 연구 / 한시내 외 2016  354
3377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 1 윤리학 인공지능의 도덕적 지위와 관계론적 접근 / 신상규 2019  353
3375 4 보건의료 철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의 실천과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허아영 2019  353
3374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3
3373 14 재생산 기술 체외 수정 시술을 시행하는 여성에서 항인지질 항체가 체외 수정 시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박은주 2001  353
3372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3371 15 유전학 위험소통을 통한 신뢰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 유전자조작기술, 나노기술,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전문가그룹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김찬원, 송해룡, 김원제 2015  353
3370 2 생명윤리 첨단생명의료분야에 있어서 인폼드 컨센트 법리의 전개와 윤리위원회의 역할 / 이정현 2008  353
3369 1 윤리학 인공지능(AI) 치명적자율무기(LAWs)의 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기초연구 / 한희원 2018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