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기록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1735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 The Method and Meaning of the Archiving Project of Suicide Survivors

  • 저자[authors] 이영남,Lee, Young-na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기록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9No.59[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기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07-2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임상,임상역사,향연,서사,듣기,낭독,글,얘기,대화,플롯,시퀀스,스토리,미시적 접근,인권,존엄,고통,체험,경험,기억,삶,인간,자살,자살유족,생존자,기도,허브,시시포스,운 명,정의,산문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archiving project of the survivors of suicide was done with the survivor supporting team of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The survivor supporting team was operating a Self-help Support Group for the emotional support of the survivors of suicide. A Self-help Support Group  is  a  place  for  the  survivors  of  suicide  to  regularly  meet and share their suffering by talking of topics hard to discuss elsewhere. As the  Self-help  Support  Group  progressed  members  who  acted  as  the leader of the group appeared. They formed an essay group that writes together. Two fathers who lost their sons, two mothers who lost their daughters, a mother who lost her son, a wife who lost his husband. The essay group met each week in a place facing Sajik Park. Through the windows that took up the whole side of the room, evening was coming  in.  The  things  that  happened  during  the  day  went  away towards  Inwang  mountain  following the  setting  sun.  Ten  people  (six members of the essay group, three from the survivor support team, a historian for unique conversation) sat around a table, facing each other. “Now, what shall we do?”  History for unique conversation is a time that archives life by sharing conversations.  At  times  a  complete  stranger,  and  other  times  people who  share  their  ordinary  lives  sit  around  together  (3-9  people, sometimes  about  15).  On  the  table  there  is  coffee,  bread,  fruits  and salads, and sometimes a dish someone heartily prepared. When a bottle of wine is placed on the table, each takes a glass. Morning, afternoon, the  time  the  evening  is  welcomed  in,  late  night.  It  does  not  matter which.  For  six  months,  3  hours  when  meeting  every  week,  6  hours when at every other week. A room where the ambience is like that of a  kitchen  where  sunlight  enters,  or  a  cozy  living  room  is  the  best location. However, there are many times when it is held in a multipurpose room in the suburbs where many meetings are held, or in a  classroom  of  a  school.  The  meeting  place  is  decided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of the time. There are no participation requirements as it is said to be for themselves to write down according to archiving form while looking back their lives thoroughly, and they are the only ones to stop themselves. The archives landscape from far away would seem  like  trying  to  do  some  talking.  However,  when  going  into  a microscopic  situation  one  must  leave  themselves  to  the  emotional dynamics.  It  is  because  it  archives  the  frustration  and  failures  one experienced   through   life.   A   participator   of   history   for   unique conversation must face the sufferings of their life.  The archiving project took place in 2013 to 2014. Many years have passed.  Has  the  objective  distance  for  archiving  the  situation  of  that time been secured? That may be uncertain, but I will speak of a few stray thoughts on archiving while depicting the process and method of operation.

국문 초록[abstracts]
서울시자살예방센터(자살유족지원팀)와 자살유족 기록작업을 같이 했다. 자살유족지원팀은 자살유족의 심리지원을 위한 자조모임을 운영하고 있었다. 자조모임은 자살유족들이 모여 앉아 대화를 나누며 고통을 나누 는 자리이다. 자조모임이 어느 정도 진행되자 모임에서 리더역할을 수행 하는 성원들이 생겼다. 이들이 모여서 글을 쓰는 에세이 모임을 구성했다. 아들을 먼저 보낸 아버지(2명), 딸을 먼저 보낸 엄마(2명), 아들을 먼저 보 낸 엄마(1명), 남편을 먼저 보낸 아내(1명). 이렇게 6명의 사람들이었다. 에세이 모임은 사직공원 앞에 자리를 잡은 한 공간에서 매주 만났다. 한쪽 벽면 전체를 차지하는 창문으로는 저녁이 들어오고 있었다. 낮에 있었던 일들은 지는 해를 따라 갔다. 10명(에세이 모임 6명, 자살유족지원팀 3명, 임상역사가 1명)이 탁자를 가운데 두고는 빙 둘러 앉았다. “자, 이제 무엇 을 해야 할까?”  자살유족 기록작업은 2013~2014년에 있었다. 교육적으로 중요하고 특 수한 환자의 임상사례를 학회, 잡지에 보고하는 것을 의학에서는 증례(證 例. case report)라고 한다. 자살유족들과 같이 했던 기록작업을 증례로 소 개하는 형식을 취해 정리했다. 증례 형식을 취한 것은 기록을 말하기 위해 서는 인간을 말해야 하고, 인간을 말하기 위해서는 기록에 대해 말해야 하 는 ‘인간과 기록의 상관성’이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자살유족 기록작 업에 대한 글이 이런 상관성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에 단초가 될 수 있다 고 본다. 몇 년의 시간이 지났다. 당시 상황을 기록하는 데 필요한 객관적 거리가 확보되었을까? 그건 자신할 수 없지만, 작업의 과정과 방법을 서술 하면서 ‘일상의 기록생산’에 대해 말해본다. 나아가 기록과 기록의 의미(인 간)에 관한 몇 가지 단상을 말해본다.  1장에서는 기록의 출처를 다루었다. 그것은 기록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또는 누가 기록하는가 하는 것이다. 기록이 무엇인가 보다는 기록하는 사 람은 누구인가 하는 물음이 앞서야 할 것 같다. 2장은 기록하는 형식에 관 한 논의로 무엇을 위해 기록하는가, 무엇을 기록화 대상으로 삼는가, 어떤 기록형식이 필요한가 하는 것을 다뤘다. 3장과 4장은 일종의 기록방법론 일 수 있는데, 3장에서는 쓰기, 4장에서는 대화를 다뤘다. 5장에서는 기록 을 수용하는 의례를 다뤘다. 3개월이든 1년이든 자신이 기록했던 시간을  어떻게 수용하며 그 의미는 무엇일까 하는 것이다. 6장에서는 논의의 지평 을 넓혀 일상의 기록생산, 일상적 아카이브를 다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17
454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4546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454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5
4544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4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9
454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92
4541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4540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6
4539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53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537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51
45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4535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453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
4533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532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87
453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4530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
4529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