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52329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저자[authors] 박만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4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중장년, 죽음의 태도, 자아 통합감, 사회적 자본, Middle-Aged, Death Attitude, Ego Integrity, Social Capital


국문 초록[abstracts] 
급격한 의학과 과학의 발달로 우리사회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인구는 총 657만 명으로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를 넘어섰다. 전체 인구에서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7.3%, 2005년 9.3%, 2010년 11.3%, 2015년 13.2%로 계속 높아지고 있으며 2017년 8월말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총 726만 명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8%로 고령사회로 들어섰다고 발표하였다. 그것은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로 인해 고령자 인구 증가와 함께 눈여겨보아야 할 부분은 삶의 질과 죽음의 질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우리나라는 2017년도 ‘삶의 질(Better Life Index)‘지수가 회원국 38개국 중 29위로 머물러 있고, 2013년도 영국 경제 주간 이코노미스트 산하기관인(EIU)에서 ‘죽음의 질 지수(Quality of Death Index)’ 또한 40개국 중에서 32번째라고 밝혔다. 인간은 태어나고 자라고 늙어서 죽는다. 그러므로 노년기 진입을 앞두고 있는 중장년층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죽음의 태도, 자아 통합감, 사회적 자본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medicine, our society has become an aging society with an average number of peopl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releas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15, the number of people aged 65 and over in korea is 6.57million, which is over 13% of the total population.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the total population is increasing as 7.3% in 2000, 9.3% in 2005, 11.3% in 2010 and 13.2% in 2015.    As of the end of August 2017, The total number of people aged 65 and over in korea is 7.26million, accounting for 13.8% of the total population, announced that they have entered into an aged society. It shows that aging is progressing rapidly.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look at the quality of life and the quality of death that need to be watched with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OECD announced that the better life index in 2017 was 29th among the 38nations of the member nations and that Quality of Death Index was also the 32nd in 40 countries in 2013 at EIU. Humans die from birth, growth and aging. Therefore, the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the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middle-aged class and the attitude of death, Ego Integrity, social capital i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ce by establishing a hypothetical model of the attitude of death among the middle-aged class and verifying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Social capital can see a complex situation related to the attitudes toward death of middle-aged people by ident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integr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of network, participation, and trust, on attitudes toward death. This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the perception of life, focusing on the demographic factors such as demographic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death.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factors affecting the ego integr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ttitude toward dea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social welfare that contribute to the practical aspect of death education by exploring and analyzing whether social capital can accept the death of middle-aged people and reduce death anxiety.

목차[Table of content]

  • 국문초록

  • Ⅰ. 서 론

  • 1. 문제 제기 및 필요성

  • Ⅱ. 이론적 탐색

  • 1. 중장년층에 대한 이론적 탐색

  • 2. 죽음의 태도에 대한 이론적 탐색

  • 3. 자아 통합감의 이론적 탐색

  • 4. 사회적 자본의 이론적 탐색

  • Ⅲ.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3387 1 윤리학 인공지능은 법의 제국의 왕자가 될 수 있는가 / 서치원 2018  118
3386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3385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3384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3383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3382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338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의 열쇠, 인공심장 기술개발 동향 / 박장선 2003  119
3380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최적의 제대혈 선택 지침 / 유건희 2014  119
3379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3378 1 윤리학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들의 역할 내 행동과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문주 2017  119
3377 7 의료사회학 임종돌봄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2개 대학병원의 인턴을 대상으로 예비 분석 / 김도연 외 2017  119
337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3375 4 보건의료 철학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19
3374 1 윤리학 한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이 중국의 입법에 주는 시사점 / 나혜란 2018  119
3373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3372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9
3371 22 동물복지 동물의 권리와 돌봄의 문화 / 최성희, 김용규 2019  119
3370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9
3369 15 유전학 Council of Europe adopts protocol on genetic testing for health purposes 2009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