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99161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저자[authors] 김미혜
  • 발행사항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ⅴ, 117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류지한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윤리교육학과 철학교육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충청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안락사,연명의료,존엄사,자기결정권,생명,고통,호스피스,좋은 삶,좋은 죽음,죽음교육
  • 소장기관[Holding]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243012)
  • UCI식별코드 I804:43012-000000037002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안락사 및 연명의료에 대한 논의를 통해 죽음을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고 말할 수 있는 담론을 형성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논의 과정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안락사 유관 개념들을 분석·정리하고, 안락사와 관련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윤리적 쟁점들이 되는 것은 무엇인지 주제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죽음의 문제는 곧 삶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좋은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해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모색하였다.  의료기술의 발전은 인간으로 하여금 생명을 연장하고 죽음의 시기를 통제할 수 있게 해주었다. 동시에 의학은 우리에게 ‘어떻게 죽을 것인가’의 문제를 안겨 주었다. 현재 한국 사회의 고령화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삶의 질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말기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8년 2월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후 12월 기준 8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했다.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죽음은 두렵고 피해야 하는 것이며, 나와는 상관없는 일로 여기고 있다. 즉,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일상에서 격리시키고 있다. 최근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됨에 따라 안락사 및 연명의료에 대한 더 이상의 논의는 의미가 없다고들 말한다. 하지만 논의는 지금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안락사 문제는 찬반의 문제가 아니며 옳고 그름의 문제도 아니다. 안락사 문제는 죽음이라는 구체적 상황 속에서 존엄과 생명의 의미를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이다. 피할 수 없는 죽음이라면 좋은 죽음이 될 수 있도록 죽음에 대해 논의하는 새로운 문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안락사 논의에서 윤리적 쟁점이 되는 것은 첫째,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둘째, 자발적 안락사는 도덕적으로 허용 가능한가, 셋째, 작위와 부작위 사이에 도덕적 차이가 있는가 등에 대한 문제들이다. 또한, 자발적 안락사가 현대의 의료적 맥락에서 기대할 수 있는 좋은 죽음인가? 만약 그렇지 않다면 다른 대안은 무엇인가? 호스피스·완화의료는 고통 받는 말기 환자가 의료적으로 삶을 연명하게 하기 보다는 진정으로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죽음의 의료화로 인해 연명의료에 매달려 삶의 마무리를 하지 못한 채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병원에서 죽음을 맞는다. 좋은 죽음은 좋은 삶의 완성이다. 자신의 삶을 자신이 책임지고 결정하는 주체론적 시각이 죽음의 문제를 바라보는 데 필요하다. 또한 가족과 공동체가 슬픔을 이겨내고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비로소 죽음이 끝나는 것이라는 관계성에 대한 자각 역시 필요하다. 죽음교육은 죽음의 문제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며, 나눔과 배려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한다는 점에서 그 도덕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 Ⅰ. 서 론 1
  •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 2. 선행연구 분석 7
  •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 Ⅱ. 안락사의 개념과 쟁점 13
  • 1. 안락사의 개념과 종류 13
  • 2. 안락사 유관 개념과 혼란 19
  • Ⅲ. 안락사와 관련된 윤리적 논의 25
  • 1. 죽음을 선택할 권리 문제 25
  • 2. 자발적 안락사의 허용 문제 34
  • 3. 부작위에 대한 도덕적 책임 문제 48
  • Ⅳ. 안락사 논의의 극복과 좋은 죽음에 대한 성찰 61
  • 1. 안락사 논의의 한계와 좋은 죽음 담론의 필요성 61
  • 2. 자연성, 주체성, 관계성의 관점에서 본 좋은 죽음 71
  • 3. 좋은 죽음과 죽음교육의 필요성 86
  • Ⅴ. 결 론 101
  • 참 고 문 헌 105
  • ABSTRACT 1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454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2018  47
4546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
4545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48
4544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45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454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4541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4540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4539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453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2017  48
453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4536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4535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453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45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4532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4531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49
4530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진단술에 대한 생명형법적 고찰 / 신동일 2006  49
452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