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81674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of Psychiatric Inpatients

  • 저자[authors] 김하늬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2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김성완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2019. 2

  • DDC[DDC] 610

  • 발행국(발행지)[Country] 광주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자살 행동,자살 사고,위험 요인,보호 요인,입원 환자

  • 소장기관[Holding]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224010)

  • UCI식별코드 I804:24010-000000060228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in psychiatric in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8 psychiatric inpatients. Factors that were related to suicide attempts and idea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during outpatient follow-up,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total, 120 patients (57.7%) had a history of at least one suicide attempt, and 163 patients (78.4%) reported active suicide ideation (e.g., a suicide plan or intention to commit suicide) at the time of admission. Being unmarried or divorced, substance abuse, impulsivity, and a poor social support system were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suicide attempts. The suicidal ide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coexisting depression, severe depressive symptoms, hopelessness, and impulsivity, and lower incidence of moral objection to suicide and high religiosity. In total, 15 of 193 patients (7.8%) who were followed-up at outpatient clinics attempted suicide after discharg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or reported suicidal ideation at the outpatient clinic after discharge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a history of a previous suicide attempt, or to have had active suicide idea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Good social support and high responsibility to family were significantly inverse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s an outpatient.
 Conclusions: A history of suicide attempts and ideation at the time of hospital admission were risk factors for future outpatient suicidal behavior. Further study is warranted to develop a checklist of variou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현대 사회에서 자살은 심각한 사회, 의료 문제로 정신 의학적 입원 및 퇴원 기간이 높은 자살 위험도와 연관되어 있다. 자살 예방에 있어 중요한 것은 조기에 자살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측하여 대비하는 것이다. 이를 고려 했을 때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에서 자살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자살 관련 요인에 대한 국내에서 활용되는 체계적인 평가 도구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의무기록지 분석을 통해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에서 자살 관련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선별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3년도부터 2016년도까지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입원한 208명 환자의 입원 및 외래 의무기록지를 대상으로 후향적 검토를 통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자살 위험 인자로 입원 의무기록에 공통적으로 기록하고 있던 위험요인과 자살에 대한 보호요인을 추출하였다.  결과:  미혼, 이혼, 물질 남용, 충동성, 가족에 대한 낮은 책임감, 자살에 대한 낮은 도덕적 반대 신념, 빈약한 사회 지지체계가 자살 시도력과 연관되어 있었다. 자살 사고 군에서 공존 우울증, 심한 우울증상, 무망감, 충동성, 가족에 대한 낮은 책임감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높은 종교성을 가진 대상자가 유의하게 적었다.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퇴원 후 외래 추적 조사가 이루어진 193명 중 15명이 추적 관찰 기간 중 자살시도를 하였다. 외래 추적 관찰 시 자살 시도, 자살 사고가 확인된 군에서 입원 당시 자살 시도력 또는 적극적 자살 사고를 가진 경우가 빈번하였다. 외래 자살 사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은 낮은 사회적 지지체계, 짧은 정신의학적 입원 기간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자살 위험 요인 및 보호 요인을 조사하여 조사 전후 자살 행동과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향후 자살 행동을 예방하고 높은 위험성을 보이는 군에서 경과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 국문초록 1
  • 서론 3
  • 방법 5
  • 결과 7
  • 고찰 13
  • 결론 17
  • 참고문헌 18
  • 영문초록 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2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네트워서비스에서의 구성원의 다양성, 연결강도,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윤정 2016  177
2027 1 윤리학 내시경 시술과 관련된 의료법학적 문제 : 관련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 배현아 2011  177
2026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6
2025 5 과학 기술 사회 역분화 줄기세포의 최신 연구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교육학적 고찰 / 최자민 2018  176
2024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강소기업 성장사례(이스라엘 Teva社) 분석 및 시사점 / 송용주 2016  176
2023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김민중 2014  176
2022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김경천 2001  176
2021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2020 9 보건의료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김유정 2019  175
201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돌봄 지식과 인식, 임종돌봄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이 임종돌봄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박미라, 제남주 2018  175
2018 9 보건의료 여성에 대한 제도적, 구조적 폭력인 산과(産科) 의료폭력(obstetric violence)개념의 부상 / 윤지영 2017  175
2017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와 인신사고의 소멸시효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75
2016 14 재생산 기술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배지현 외 2018  175
2015 15 유전학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 박민우, 한성원 2016  175
2014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201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식세포 기증·수증의 공적 관리 및 지원 / 김은애 2009  175
» 20 죽음과 죽어감 정신건강의학과 입원환자에서 자살행동 관련 요인 / 김하늬 2019  174
2011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2010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정책 중심으로 / 오혜진 2018  174
2009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된 인간에서 복제된 인간으로 / 천현순 2016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