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보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5652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 Cultural Competenc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mong Public Health Personnnel


  • 저자[authors] 박은옥,강경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보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5No.1[2019]
  • 발행처[publisher]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3-9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public health personnel in the communities and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healthcare workers using a self report questionnaire from Aug, 2015 to Feb, 2016.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3.0 for data analysis.  Results: Cultural competency was 2.42 on average, and the affecting factors the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care workers wer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3.53, p=.001), communication ability (t= 3.58, p=.001), and the exposure to other culture  (t=2.03, p=045), and work responsibilities (t=-3.23, p=.002).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30.4% of the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y (F=7.93 p<.001).  Conclusion: We need to provide systematic 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to enha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and the cultural competency for healthcare workers, and find out ways to remove communication barriers to offer proper healthcare services to people who came from other countries.


국문 초록[abstrac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보건소와 보건진료소 등 보건기관인력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 2.42점이며, 문화적 지식(평균 2.05±0.65)과 문화적 수용성(평균 2.30±0.66)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 점수는 10점 기준 6.65점이며, 문화적 의사소통(평균 6.88±1.78), 태도와 기술(평균 6.85±1.78), 기본지식(평균 6.55±1.57) 등이 점수가 높았다.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준 변수는 다문화 교육경험(t=3.53, p=.001), 의사소통능력(t=3.58, p=.001), 타문화 접촉경험(t=2.03, p=.045), 담당업무(t=-3.23, p=.002) 등이었고, 이들에 의해 다문화 역량의 30.4%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인력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다문화 역량 교육을 실시하고, 의사소통 등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여 다문화 대상자와의 접촉빈도를 높이고, 담당 업무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역량강화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다문화 대상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건강관리 방안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28 14 재생산 기술 자궁내막암에서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 (ulipristal acetate) 의 항암효과/고아라 2016  448
927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926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925 1 윤리학 연구논문 : 주민등록번호 변경규정 마련을 위한 입법적 과제 -헌법재판소 2015. 12. 23. 2013헌바68 중심으로- / 김종세 2016  449
924 14 재생산 기술 여성 난임환자 20례의 임상결과보고 / 조성희 2015  450
923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922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921 20 죽음과 죽어감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 박상현 2016  451
920 2 생명윤리 초등 교과교육 : 생명윤리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 이강미, 이상원 2014  452
919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결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조충희 2018  452
918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917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916 20 죽음과 죽어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 홍경자 2013  453
915 1 윤리학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헌법상 근거와 보호영역 / 전상현 2018  453
91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행정과 국가배상책임제도에 관한 연구/ 이지헌 2018  454
913 5 과학 기술 사회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 고인석 2012  455
912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의 법리와 제도 연구 / 박동섭 2013  455
911 5 과학 기술 사회 생체모방 로봇의 최신 동향/박종원, 이진이, 김수현 2012  455
910 18 인체실험 대학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기준에 관한 연구- 미국의 Common Rule과 미국 대학의 표준운영지침상 기준을 중심으로/김시형, 추정완 2015  455
90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 김대규 2016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