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9535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of Whole Body Implantation


  • 저자[authors] 이인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홍익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No.1[2019]

  • 발행처[publisher]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91-51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a "body transplant" than to call it a "human head transplant because the body becomes a principal and the body of a brain dead person is donated as an object. Body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most dangerous surgeries imaginable. Since body transplantation is a very experimental procedure, the level of information disclosure is proportional to the novelty and risk of procedure, so first-aiders who want to undergo body transplant surgery should first inform the potential recipients of interest to the experimental nature of the procedure do.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ossibility of serious complications and side effects that could occur after successful surgery, loss of sensation, motor function, and breathing function in case of failure of the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transplant has not yet been technically verified, information has not been provided at the level of obtaining the patient's effective consent, and the approval of this study at the deliberation stage of the study plan in terms of risk and benefit evaluation. In addition, the issue of identity poses a problem of identity, and even if there is a successful surgical result, the problem of psychological confusion or fairness of subjects to be suffered and the fairness of justice of distribution are raised.


국문 초록[abstracts] 

신체이식은 머리가 주체(host)가 되고 뇌사자의 몸(donor body)을 객체로 기증받는 것이기 때문에 머리이식(human head transplant)이라고 부르기 보다는 ‘신체이식’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신체 이식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수술 중 하나이다.  신체 이식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수술 중 하나이다. 신체이식은 매우 실험적인 절차이기 때문에 정보공개 수준은 절차의 신규성과 위험에 비례하기 때문에 신체이식수술을 시도하려는 의료진은 먼저 관심 있는 잠재적 이식의 대상자들에게 이 절차의 실험적인 성격을 충분히 알려주어야 한다. 이 실험의 성공률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수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과 부작용, 수술 실패시의 감각, 운동기능 및 호흡기능의 상실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여서 충분한 설명을 하여야 한다. 기관윤리심의위원회는 연구진에 의한 정보공개가 환자들이 자신이 할 개인적인 도박에 가까운 실험적 성격을 완전히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이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신체이식이 아직 기술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환자의 유효한 동의를 획득할 수준의 정보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 위험과 이득의 평가라는 측면에서 연구계획서의 심의 단계에서 이 연구의 승인은 잠정적으로 거부되어야 한다고 본다. 더군다나 법률적 쟁점으로 정체성 혼란의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성공적인 수술 결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피실험자가 겪어야할 심리적 혼란의 부담이나 형평의 문제, 분배정의의 공정성의 문제가 제기된다는 점에서 과연 우리 사회에서 필요한 연구인가를 심사숙고 하게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발행년 2014 

  • 조회 수 51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발행년 2018 

  • 조회 수 51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52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발행년 2008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발행년 2011 

  • 조회 수 52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발행년 2004 

  • 조회 수 52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2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2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발행년 2016 

  • 조회 수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