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3219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reatment Adherence of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s

  • 저자[authors] 이정아,김영아,정향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9-62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research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reatment adhere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subjects were 132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7, 2017, to August 22, 2017, and analyzed using SPSS WIN 24.0.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adherence based on the age, religion, and the time passed since kidney transplant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treatment adher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r=.54, p<.001), family support (r=.43, p<.001), health provider’s support (r=.57, p<.001), and self-care knowledge (r=.21, p=.01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eatment adherence were health provider’s support, the time passed since kidney transplantation, spouse, and religion. The final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1.9%. In conclusion,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introduced to promote the support of healthcare providers in order to improve the adherence of the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신장이식 환자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7일부터 2017년 8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 종교의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에 따라 치료지시이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총 사회적 지지(r=.54, p<.001), 가족의 지지(r=.43, p<.001), 의료인의 지지(r=.57, p<.001) 및 자가 간호지식(r=.21, p=.015) 역시 치료지시이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치료지시이행의 영향요인은 의료인의 지지, 신장이식 후 경과기간, 배우자 유무, 종교의 유무였고, 최종 설명력은 41.9%였다. 결론적으로, 신장이식 환자들의 치료지시이행을 높이기 위해 의료인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1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08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4564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00
4563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4562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5
4561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5
456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4
4559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4558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3
455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1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58
455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1
4554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43
4553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099
4552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2
4551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68
455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62
45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