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4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시민인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1824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Analysis of perceptions of marriage and birth and the pattern of low birth rate


  • 저자[authors] 최영미,박윤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시민인문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36[2019]

  • 발행처[publisher]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1-13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cognition about marriage and birth and to identify the cause of low birth rate. (1) A willful low birth (2) A fateful low birth (3) A social low birth (4) An economic low birth (5) policy low birth rate, (6) altruistic low fertility rate, (7) physical low birth and (8) discriminative low birth. Eight types of discriminative low birth rate were derived. The eight types presented should be of significance in dividing the many factors that account for the causes of the low birthrate into very different boundar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se low fertility type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largely centered on the general factors, the motivation for making decisions about birth, the meaning and role of family members, and the perception of unmarried  younger gener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uses of low fertility are mostly linked to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people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social structural causes that make them rejected rather than spontaneous rejec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However, apart from this, it is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which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worldwide. The break away from standard life style is not only a rejec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but also manifests itself in diverse family structures, and it is our belief that young people who do not choose to marry or give birth in this situation are those who have not adapted to the standard way of life Suggested self-care.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이다.  저출산 원인들을 세부적으로 분해하고 공통의 특성을 뽑아내 묶어내는 유형화를 시도하였고,  ①의지적 저출산, ②숙명적 저출산, ③사회적 저출산, ④경제적 저출산, ⑤정책적 저출산, ⑥이타적 저출산, ⑦물리적 저출산, ⑧차별적 저출산 총 8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시한 8가지 유형들은 저출산의 원인들을 설명하는 수많은 요인들을 크게 구별되는 경계들로 나누어 보았다는데서 그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저출산 유형을 검증하기 위해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으며, 면접의 내용은 크게 일반적 사항과 출산에 대한 의사결정의 형성 동기, 가족의 의미와 역할, 무자녀 미혼 청년층의 인식에 대한 질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저출산의 원인이 대부분 청년층 삶의 질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나타났으며, 결혼과 출산의 자발적인 거부라기보다는 이를 거부하게 만드는 사회 구조적인 원인을 보다 다각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 저출산에 대한 문제의식이다. 표준적인 삶의 양식에 대한 탈피는 결혼과 출산의 거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족 구성으로도 나타나며, 이러한 상황에서 결혼이나 출산을 선택하지 않는 청년들을 표준적인 삶의 양식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로 간주하는 것을 우리 스스로 경계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4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6
42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
41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46
40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39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38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37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4
36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35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34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33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32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3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30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29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28 13 인구 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한 보건의료 대책 / 김재연 2017  243
27 13 인구 저출산과 교육시설 / 윤천근 2016  56
26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9
25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