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1833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Eine Untersuchung über das Geburtsanzeigesystem  im Rahmen des Deutschen Rechtes


  • 저자[authors] 한명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논총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9No.1[2019]

  • 발행처[publisher]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83-30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Das deutsche Recht des Geburtsanzeigesystems zeichnet sich dadurch aus, dass nicht nur Eltern auch medizinische Einrichtungen die Pflicht zur Anzeige haben. Dies ist im PStG vorgesehen. Nach den Regelungen muss die Geburtsanzeige eines Kindes innerhalb einer Woche ohne Rücksicht auf die elterische Staatsangehörigkeit sowie Anschrift erfolgen. Bei Geburten in Krankenhäusern muss der Träger der Einrichtung dem Standesamt, in dessen Zuständigkeitsbereich das Kind geboren ist, schriftlich anzeigen. Bei Geburtsfällen in Krankenhäusern bleiben die anzeigenverpflichtenden Personen berechtigt bleiben. Die Einrichtungen ist es jedoch nicht gestattet, unter Hinweis auf diese Möglichkeit die Erstattung der Anzeige zu verweigern.  Zur mündliche Anzeige ist grundsätzlich jeder Elternteil verpflichtet, wenn er in Haber der elterlichen Sorgen ist. Andere Personen sind zur Anzeige verpflichtet, wenn sie entweder bei der Geburt zugegen waren oder von der Geburt aus eigenem Wissen unterrichtet sind. Die Anzeigepflicht besteht nur, wenn die sorgeberechtigten Eltern an der Anzeige gehindert sind. Bei Geburten in Krankenhäusern wird in der Praxis direkt und schriftlich von der Verwaltungsbüro gemeldet. Zusammenfassend wird das deutschen Geburtsanzeigesystem zwar parallel zum dualen System der mündlichen und schriftlichen Erklärung durch Personen und Einrichtungen durchgeführt. Aber, in der Praxis wird bei der Geburt eines Krankenhauses die Geburtsanzeige direkt vom Krankenhaus durchgeführt. Wenn ein Kind in der Elternhaus geboren ist, jeder Elternteil des Kindes zur mündlichen Anzeige verpflichtet.  Die Geburtsanzeige ist ein notwendige Recht des Kindes und eine grundlegende Pflicht des zur Anzeige verpflichtende Person im Hinblick auf den Schuz der Rechte des Kindes. Um den Grauzone der Rechte von Kinder zu minimieren, muss das aktuelle System der Geburtsanzeige grundlegend verbessert werden. In diesem Zusammenhang geben die deutschen Regelungen, in denen das aktive Anzeigesystem von den an der Geburt beteiligten medizinischen Einrichtungen durchgeführt wird, einen wichtigen Hinweis.


국문 초록[abstracts]

독일의 출생신고제도는 부모와 의료기관 등에 모두 출생신고의무가 부여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출생신고의 절차 및 방법은 신분등록법(PStG)에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아이가 출생하면 부모의 국적, 주소를 불문하고 1주일 내에 출생신고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병원 등의 시설에 의한 출산의 경우 시설의 주체가 출생지를 관할하는 신분등록사무소에 서면으로 출생신고를 하여야 한다. 시설이 서면에 의한 출생신고를 하였어도 부모 등은 구두에 의한 출생신고를 할 수 있으나, 부모 등이 구두신고를 하였다고 해서 시설이 서면에 의한 출생신고 의무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가정출산의 경우에만 부모 등이 구두로 직접 신분등록사무소에 방문하여 출생신고를 하여야 한다(신분등록법 제18조 내지 제20조).  사람에 의한 구두신고의 경우 일차적으로 친권자인 부 또는 모에게 출생신고 의무가 부여되며 부모에 의한 출생신고가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이차적으로 출산현장에 있었거나 스스로 출산에 대해 알게 된 자가 출생신고 의무가 있다. 병원 등의 시설에 의한 출생의 경우는 실무상 해당 병원 행정부서에서 직접적으로 서면에 의한 출생신고를 해주고 있다. 따라서 제19조(사람이 하는 출생신고) 규정이 적용되는 주된 사례는 가정 출산의 경우이다. 다만 사설병원에서 서면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출생신고는 구두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리하면 독일의 출생신고는 사람에 의한 구두신고와 시설에 의한 서면신고라는 이원적 체계로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는 하나 실무상 병원 등 시설에 의한 출산의 경우 출생신고가 병원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며, 가정출산의 경우에 부모 등에 의한 구두신고가 행해지는 시스템인 것이다.  출생신고는 아동인권보호 차원에서 아동의 필수불가결한 권리이자 신고자의 기본적인 의무이다. 아동인권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현행 출생신고체계는 근본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점에서, 출생에 관여한 의료기관에 의하여 적극적인 출생신고제도가 이루어지는 독일의 입법례는 상당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48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4647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4646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4645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4644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4643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2017  36
464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464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4640 9 보건의료 Assessing Rehabilitation Eligibility of Older Patients: An Eth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Bias / Najem 2018  36
4639 8 환자 의사 관계 The Obligation to Provide Information where Valid Consent is Not Needed / Walker, Tom 2017  36
4638 20 죽음과 죽어감 Support for Voluntary Euthanasia with No Logical Slippery Slope to Non-Voluntary Euthanasia / Daskal 2018  36
4637 5 과학 기술 사회 Direct-To-Consumer 광고 판매언설에 관한 연구 / 김춘애 2006  36
4636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에서 환자의 가치창출행동이 서비스 품질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김지영 2018  36
4635 9 보건의료 심평의학의 문제점 및 제도 개선방안 / 김재연 2018  36
4634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지정 토론문 / 김성곤 2018  36
4633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37
4632 15 유전학 특집 : 게놈시대의 기독교사회윤리 ; 특별강연 : 게놈시대의 생명윤리 / 이정주 2002  37
4631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부가적 요법으로서의 한의학적 치료 / 김동일 2010  37
4630 9 보건의료 혁신친화형 바이오헬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배성윤 2016  37
4629 5 과학 기술 사회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 이국희 2017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