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3986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 Nursing Ethics Values of Nursing Students

  • 저자[authors] 김미화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No.1[2019]
  • 발행처[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9-6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http://www.riss.kr/link?id=A106063986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on the ethic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4 to June 1, 2018 in 180 students of a university nursing student in Daegu who explained their research and agreed to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ursing-related characteristics, the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ere used, and the post-test was conducted using the Schéffe post-test. The ethical values of the nursing students were 97.51 ± 8.96 out of 150, indicating that they were inclined toward the position of deontology. The first grade students were more dominant, and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inclined toward utilitarianism.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to establish ethical values so that ethical decision making can be done through philosophical thinking when various nursing dilemma situations in the clinical field are based on the results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에 의무론과 공리주의가 윤리적 가치관 확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5월 14일부터 6월1일까지 D지역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180명을 대상에게 연구를 설명 후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로 나타내고,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간호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로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éffe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간호학생의 윤리적 가치관은 150점 만점에 97.51±8.96점 인 것으로 나타나 의무론의 입장에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학년 학생들은 의무론적 입장이 더 우세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공리주의 입장으로 더기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임상현장에서 있을 여러 가지 간호딜레마 상황에 놓였을 때, 철학적인사고를 통한 따라 윤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윤리적 가치관 확립에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116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1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114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11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1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111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8
11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09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108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0
107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8
10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04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0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0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0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0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99 16 환경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김대군 2015  270
9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