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76091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Research Ethics and Laws Related to Survey Research in Clinical Psychology

  • 저자[authors] 문성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2-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sychologists explore human behavior using scientific methods. The survey method is the most cost efficient research methods psychologists use. Clinical psychology research papers, including most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frequently employ this method, which includes psychological assessment tools. However, the survey method is regulated by several laws, such as the research ethics law, bioethics law, copyright law, and privacy law. The whole structure and every elements of a survey comprise the expressions that are protected by the copyright law and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are human subjects who are protected by the bioethics laws. The collected data in the survey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ed by the privacy law, and the resultant research paper is governed by the research ethics law. This study examined these laws from clinical psychologists’ perspective. Although ethics should encompass most laws, the ethical principles for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Psychology were poorly connected to related laws; the code of conduct are unclear and inconsistent compared to related laws, and they do not represent the core concept and general principles of Ethics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integrity). A comprehensive, active revision of the ethics laws for clinical psychologists is required to match the trends of related laws; furthermore, proactive action and discussion among psychologists is needed.

국문 초록[abstracts]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과학적 방법론에 의해서 연구한다.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과학적 방법론중에서도 가장 비용효율성이 높은 것은 설문지 방법이다. 그런 까닭에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들은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에 게재되는 거의 대부분의 논문들 또한 설문지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설문지를 사용하는 연구들은 설문지 연구의 높은 비용효율성이 가지는 이점을 누릴 수 있는 반면, 설문지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엄격히 지켜야 할 의무를 부과받는다. 설문지를 사용하는 연구는 설문지 자체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고 설문지의 대상이 인간인 만큼, 저작권법과 생명윤리법을 비롯해서 개인정보보호법과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까지 모두 준수해야만 하는 의무를 가진다. 그러나, 한국임상심리학회 혹은 한국심리학회의 제 규정 안에는 이들 법규를 충족시킬 만큼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조항이 없고, 학회에서는 이들 법규를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한 책임은모두 저자에게 부과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들로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적절한 연구를 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인지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연구와 관련될 수 있는 법규들과 학회의 윤리규정 조항들을 살펴보고 향후의 규정 보완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1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116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15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덕으로의 이행 / 김진경 2004  304
114 18 인체실험 초등 생명윤리 교육을 위한 모의 IRB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피험자 설명서를 중심으로 / 장혜림 2011  302
11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타나토사회성의 등장- 사회에 책임지는 기술혁신(RRI)의 적용 한계와 기술 거버넌스/이준석 2015  300
1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8
111 2 생명윤리 스포츠과학연구에 있어서 생명윤리의 쟁점과 과제 / 김동규, 김현수 2014  288
110 15 유전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과 바이오뱅크를 이용한 연구에서의 피험자 보호방안 / 이정현 2010  283
109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108 17 신경과학 우리는 ‘호모 모랄리스’인가? 도덕 딜레마 해결 기제의 신경윤리학 연구 / 윤진호 외 2019  280
107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8
10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7
105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104 2 생명윤리 규범 중심의 생명윤리 논의에 대한 비판 : 행위의 통합성을 중심으로 / 김수정 2011  274
103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02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
101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10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3
99 16 환경 환경윤리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 김대군 2015  270
98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