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76091 
 임상심리 설문지 연구와 관련된 연구윤리 및 법규들 
= Research Ethics and Laws Related to Survey Research in Clinical Psychology

  • 저자[authors] 문성원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임상심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2-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Psychologists explore human behavior using scientific methods. The survey method is the most cost efficient research methods psychologists use. Clinical psychology research papers, including most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frequently employ this method, which includes psychological assessment tools. However, the survey method is regulated by several laws, such as the research ethics law, bioethics law, copyright law, and privacy law. The whole structure and every elements of a survey comprise the expressions that are protected by the copyright law and the respondents of the survey are human subjects who are protected by the bioethics laws. The collected data in the survey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ed by the privacy law, and the resultant research paper is governed by the research ethics law. This study examined these laws from clinical psychologists’ perspective. Although ethics should encompass most laws, the ethical principles for the Korean Association of Clinical Psychology were poorly connected to related laws; the code of conduct are unclear and inconsistent compared to related laws, and they do not represent the core concept and general principles of Ethics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integrity). A comprehensive, active revision of the ethics laws for clinical psychologists is required to match the trends of related laws; furthermore, proactive action and discussion among psychologists is needed.

국문 초록[abstracts] 
심리학자들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과학적 방법론에 의해서 연구한다. 심리학자들이 사용하는 과학적 방법론중에서도 가장 비용효율성이 높은 것은 설문지 방법이다. 그런 까닭에 대부분의 심리학 연구들은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에 게재되는 거의 대부분의 논문들 또한 설문지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설문지를 사용하는 연구들은 설문지 연구의 높은 비용효율성이 가지는 이점을 누릴 수 있는 반면, 설문지의 사용과 관련된 여러 법규를 엄격히 지켜야 할 의무를 부과받는다. 설문지를 사용하는 연구는 설문지 자체가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이고 설문지의 대상이 인간인 만큼, 저작권법과 생명윤리법을 비롯해서 개인정보보호법과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까지 모두 준수해야만 하는 의무를 가진다. 그러나, 한국임상심리학회 혹은 한국심리학회의 제 규정 안에는 이들 법규를 충족시킬 만큼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조항이 없고, 학회에서는 이들 법규를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한 책임은모두 저자에게 부과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자들로서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적절한 연구를 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하는 것인지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연구와 관련될 수 있는 법규들과 학회의 윤리규정 조항들을 살펴보고 향후의 규정 보완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 보건의료 개원가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최주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43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발행년 2010 

  • 조회 수 44

1 윤리학 The Role of National Ethics Commissions in Finland

발행년 2003 

  • 조회 수 44

15 유전학 23andMe,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Future of Genetic Testing / Zettler, P.J.

발행년 2014 

  • 조회 수 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명희

발행년 2006 

  • 조회 수 4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의료기기 위험관리를 위한 규범론적 접근 -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규범화 논의를 중심으로 / 김재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4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발행년 2016 

  • 조회 수 4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발행년 2015 

  • 조회 수 45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명 종결 결정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엄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5

5 과학 기술 사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드러난 줄기세포 문제, 그 뿌리를 찾아서 / 최규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

5 과학 기술 사회 부산광역시 e-응급서비스시스템 인프라 구축 / 김형회 외

발행년 2008 

  • 조회 수 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 자동개시 조항에 관한 고찰 / 김석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

15 유전학 Ethical Guidelines for Genetic Research on Alcohol Addiction and Its Applications / Chapman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

9 보건의료 인공지능 - 법과 의료 - = Artificial Intelligence - Law and Medicine - / 김기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5

2 생명윤리 A Portrait of Nanomedicine and Its Bioethical Implications

발행년 2012 

  • 조회 수 46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의 特許性에 관하여 / 표호건

발행년 2007 

  • 조회 수 46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의료에 있어서 계약법리의 적용 / 최행식

발행년 2008 

  • 조회 수 46

15 유전학 23andMe signs Parkinson's gene deal with Genentech

발행년 2015 

  • 조회 수 46

9 보건의료 의약품 안전정보 관리방안 / 정영철

발행년 2005 

  • 조회 수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