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73190 


국내 AI 의료기기 규제 확립을 위한 연구 : 유럽, 미국, 일본의 규제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 A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I medical device regulation in Korea : Focused on Europe, USA and Japan


  • 저자[authors] 이선주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9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규성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제 4차 산업혁명,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AI 의료기기,의료기기 규제 확립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국문 초록

현재 4차 산업혁명에서 AI 기술이 대두되면서 금융, 자율주행자동차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I는 이미 의료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현재 '왓슨(Watson)'이 의료 현장에서 암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의료 분야 AI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국내의 경우 일부 업체에서는 의료기기 임상시험계획승인을 받아 제품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5월 국내 최초로 허가 받은 AI 의료기기가 탄생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AI 의료기기에 대한 분류를 명확히 하였지만, 국내 AI 의료기기 분야에서 법적규제는 아직 확립이 되어있지 않고 이에 관한 연구도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AI 의료기기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주요 국가별 AI 의료기기 산업동향을 조사한 후 앞서 AI 기술이 적용된 자율주행자동차 산업과 국내·외 AI 의료기기 산업에서의 규제 및 법적책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현 국내 규제를 보완할 수 있는 규제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규제 부문에서는 AI 의료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허가절차에 대한 확립이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위험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AI 의료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허가절차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두 번째로, 빅데이터와 관련하여 데이터의 이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 비식별화조치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지침을 통해서 국가 차원에서의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을 제언한다. 세 번째로, 의료기기 허가를 받아도 신의료기술평가로 인해 시장진입이 늦어지는 이중규제에 대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4차 산업혁명에 관련된 의료기술에도 기존에 존재하는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트랙에 적용하여 의료기술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AI 의료기기의 법적 책임에 관련하여 별도의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법제화 마련이 필요하다. 미국과 일본의 자율주행 기술수준별 분류와 같은 기준을 바탕으로 법제화를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각 국가에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AI 의료기기의 기술개발과 발전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논의하여 방안을 마련하고 있듯이 국내에서도 AI 의료기기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의 충분한 논의 끝에 여러 규제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규제 확립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As the AI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merged, it is expected that it is commonly used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and autonomous vehicles but also in the medical field. AI is already applied to medical field, and ‘Watson’ is utilized in cancer diagnosis of medical field. AI technology in medical field is rapidly developing around the world and researches regarding AI technology in medical field are actively ongoing. In Korea, Some companies are conducting clinical trials with the approval of medical device clinical trial plan, and the AI medical device was first approved in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clarified the classification of AI medical devices by publishing “Guidelines for approval and evaluation of big data and AI based medical device”, but the legal regulations in AI medical device field in Korea has yet to be established. Also, the studies on legal regulations are much to be desired.

In this study, After researching a broad outline of AI medical device and AI medical device industry trends in major countries, we could find alternatives for regulations that complement the current domestic regulations by comparing the regulation and liability of autonomous vehicles industry that AI technology has been already utilized and domestic and foreign AI medical device industry.

First, in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pproval procedure for AI medical device. An alternative would be to establish a separate approval procedure for AI medical devices that are considered to be practically low risk. Second, regarding Big data,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reg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o activate the use of data. Third,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double regulation which could delay the market entry because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even if it is approved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Lastly, regarding liability for AI medical device, the preparation of legislation is necessary to clarify the separate legal responsibility. The preparation of legislat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autonomous driving of United states and Japan could be considered.

As many experts in various fields in each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discussing and preparing alternatives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AI medical device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stablish regulations by seeking various regulatory alternatives after discussion among experts in various fields within the scope of not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AI medical device technology in Korea.




목차

제 1 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5

제 2 장 AI 의료기기의 이론적 고찰 6

1. AI 기술에 대한 이해 6

1) AI 기술의 개념 6

2) AI 기술의 특징 7

3) AI 기술의 발달 8

4) 분야별 인공지능 9

2. AI 의료기기에 대한 이해 11

1) AI 의료기기의 개념 11

2) AI 의료기기의 분류 13

3. 주요 국가별 AI 의료기기 현황 17

1) 유럽의 AI 의료기기 현황 17

2) 미국의 AI 의료기기 현황 19

3) 일본의 AI 의료기기 현황 23

4) 국내의 AI 의료기기 현황 24

제 3 장 주요 국가별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1

1. 주요 국가별 AI 기술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1

1) 유럽의 AI 기술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1

2) 미국의 AI 기술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5

3) 일본의 AI 기술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8

4) 국내의 AI 기술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39

5) 각 국가별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비교 42

2. 주요 국가별 AI 의료기기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44

1) 유럽의 AI 의료기기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44

2) 미국의 AI 의료기기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47

3) 일본의 AI 의료기기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52

4) 국내의 AI 의료기기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53

5) 각 국가별 규제현황 및 법적책임 비교 62

제 4 장 국내 AI 의료기기 규제 확립을 위한 제언 및 결론 66

참고문헌 73

ABSTRACT 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08 9 보건의료 지문인식을 이용한 진료등록시스템에 관한 연구/백종현 이동훈 2018  152
2907 5 과학 기술 사회 머신러닝 인공지능과 인간전문직의 협업의 의미와 법적 쟁점 / 설민수 2017  152
2906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2905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904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2903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902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3
2901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3
2900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899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898 20 죽음과 죽어감 미성년자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소고 / 엄주희 2018  153
2897 2 생명윤리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 이인재 2008  153
2896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2895 1 윤리학 노년의 삶과 정체성 / 권수현 2019  153
289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2893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2892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2015  154
2891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2890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288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