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73520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obotic Medical Device

  • 저자[authors] 오세정
  •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9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규성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료기기산업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제4차 산업혁명,인공지능 기반,로봇,첨단 의료기기,활성화 방안
  • 소장기관[Holding]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 UCI식별코드 I804:11040-000000149998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만성 및 중증 질환의 발병이 증가하고 질병이 다양화됨에 따라 의료비 및 치료에 대한 환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더불어 의료 수요 측면에서 치료 방법 및 기간에 대한 질적 향상 및 기대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제4차 산업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로봇공학, 3D 프린팅, 나노 기술 등이 접목된 의료기기가 다가올 고령·초고령 사회의 의료 문제를 보다 효율적이고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에 주목하여 의료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국내 기업 및 대학, 연구소 등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로봇 의료기기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도 인공지능(AI) 기반 의료용 로봇의 개발 및 활성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및 제품의 상용화를 지원하고 규제완화를 시도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국내·외 연구개발 현황과 관련 정책의 동향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 개발적 측면, 제도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개발적 측면에서 인공지능(AI) 발전을 위해 의료데이터 표준 통합시스템을 마련하고 전반적인 사항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가 전담 조직을 구성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로봇 의료기기의 작동을 명령하는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연구와 품목별로 안전성 및 성능평가 항목과 시험법 등이 연구 개발 되어야 한다.

둘째, 제도적 측면에서 인체에 미치는 위해도를 고려한 등급 분류(안)과 사용목적 및 특성을 고려한 품목 분류(안)을 마련하고 이에 따른 관리방안 및 맞춤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법적 책임 주체 및 기준 등을 명확화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측면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홍보 및 보급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성과 창출 극대화를 위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기업 및 연구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obotic Medical Device


Oh, Se Jeong

Department of Medical Device Management & Research

Sungkyunkawm University


The rapidly growing number of worldwide population of aging groups, causes chronic and severe illnesses with varieties, thus increasing the burden of health care costs and treatments. Consequently, the rise of qualitative improvements of high quality health care treatments and periods is expected to meet the demands of an aging popula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medical devices that incorporate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I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engineering, 3D Printing, and Nano technology to bring efficient and innovative ways to solve medical problems in elderly society. Especial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robotics technology are now newly focused conventional ways to be utilized in the medical field.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obotic medical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re actively underway in domestic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Also, the government is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medical robots, investing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of medical robots and reduction of regulations. 

This study aims to present research developmental, institutional, and social aspects of the future activation of AI-based robotic medical devices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R&D trends and related policies in this fiel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irst,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tandard system of medical data and forming a specialist organization is suggested to manage the overall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erm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ddition, a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software that commands the operation of robotic medical devices. Safe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nd test methods should be researched as well.

Second, classification of risks to the human body and classification of usage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from institutional perspective are suggested. Additionally the legal responsibility and standards of robotic medical de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hould be clarified.

Lastly, from a social perspective, support for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robotic medical de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needed. In addition, continuous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businesses and research organizations is required in order to maximize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robotic medical de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목차[Table of content] 

제 1 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방법 6

제 2 장 본론 7

제 1 절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개요 7

1. 로봇 의료기기의 이론적 고찰 7

가. 로봇 의료기기 정의 및 특징 7

나. 로봇 의료기기 시장 현황 및 전망 17

2. 인공지능(AI) 기술의 이론적 고찰 21

가. 인공지능(AI) 기술의 정의 및 특징 21

나. 인공지능(AI) 의료 시장 현황 및 전망 33

3.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35

제 2 절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현황 38

1.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기술 및 연구 개발 현황 38

가. 국내 38

나. 국외 43

2.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 정책 및 규제 동향 48

가. 국내 48

나. 국외 51

1) 미국 51

2) 유럽연합(EU) 56

3) 일본 59

4) 중국 62

제 3 장 고찰 및 결론 65

제 1 절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의료기기의 활성화 방안 제언 65

1. 연구·개발적 측면 65

2. 제도적 측면 69

3. 사회적 측면 74

참고문헌 77

ABSTRACT 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68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5
4567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신미향 2013  2413
456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 생물(GMO)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인식 조사 / 이혜정, 이진경, 민윤숙, 최진영, 심규철 2010  2345
45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24
4564 15 유전학 [번역문] 유전자 형질변환 식품의 실험에 대한 철학적 견해 / Andrew Woodfield 2015  2313
4563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4
4562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51
4561 2 생명윤리 사형제도의 윤리적 정당성 : 사형에 대한 응보론적 논증을 중심으로 / 이윤복 2018  2249
4560 4 보건의료 철학 4차 산업혁명과 간호 인적자원의 개발 / 김광점 외 2018  2227
4559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산업의 윤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 비상업적 대리모의 법적 보호를 중심으로 / 권은지 2015  2207
455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조직과 기능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김중호, 한성숙, 엄영란, 구인회, 서철, 홍석영 2004  2207
4557 13 인구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동성 2016  2206
4556 1 윤리학 도덕철학에서 왜 다시 덕이 문제인가 : 아리스토텔레스와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를 중심으로 / 김지윤 2015  2171
4555 1 윤리학 비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최보희 2018  2153
4554 1 윤리학 미래 의료용 나노로봇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해악 및 그 방지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제언 ― 표적치료제 나노로봇을 중심으로 ― / 정천교 2018  2153
4553 23 연구윤리 연구 윤리와 위반사례 예시 / 윤영훈 2018  2152
4552 2 생명윤리 피터 싱어의 생명 윤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정창록 2012  2078
4551 1 윤리학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의미와 실현구조 / 장영수 2017  2073
4550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교정 및 유전자치료 / 김형범, 김희권 2015  2073
45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김진형 20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