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32645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International Regulatory Trends on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nd Its Implication

  • 저자[authors] 이수빈(Lee, Subin),김한나(Kim, Hannah)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1-9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유전자 치료,유전자 편집,CRISPR-Cas9,인간 배아,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Gene therapy,Genome editing,CRISPR-Cas9,Human Embryo,Bioethics and Safety Act
http://www.riss.kr/link?id=A106032645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의 목적은 인간 배아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기술과 관련된 국제 주요 연구 및 논의와 국외규제 동향을 살펴본 후 그 연구 결과를 고찰해 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 국가 중에서,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일본, 중국, 캐나다, 프랑스에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와 관련한 명확한 법률 또는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이들 중 제한된 연구 목적 하에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을 허용하고 있는 국가는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일본, 중국이고, 이들 국가들은 임상 연구 목적의 유전자 편집을 금지한다는 내용을 함께 명시하고 있다. 특히, 싱가포르, 영국, 일본은 유전자가 편집된 배아를 여성의 자궁 내에 이식하는 행위를 금지한다. 한편 독일, 캐나다, 프랑스는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를 금지하고, 미국은 민간 기관의 승인을 통하여 연구를 허용한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연구를 어떠한 방향으로든 명시적으로 규제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은 도덕적, 윤리적, 과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논란이 일고 있지만, 인류의 오래된 문제인 질병 퇴치의 가능성이 기대되는 만큼 인류 전체의 보건 향상을 위하여 기술을 현명하게 활용하고 규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regulatory trend of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n overseas countries. The research shows that Malaysia,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India, Japan, China, Canada, and France have legislation or guidelines related to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mong them,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India, Japan, and China which allow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for limited research purposes, also prohibit genome editing for clinical research purposes. In particular,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prohibit intrauterine implantation of embryos using genome editing techniques. Meanwhile, Germany, Canada, and France ban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and the United States allows research through the approval of private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 still does not explicitly regulate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n any direction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Genome editing research using human embryo is controversial in terms of morality, ethics and science, but we expect the possibility of eradicating diseases, a long-standing human problem, and we need ongoing discussions and research to use and regulate them wisely.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유전자 편집 관련 연구‧논의  III. 국가별 인간 배아 대상 유전자 편집 연구의 규제  Ⅳ. 한국에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 윤리학 베이비박스의 실태와 대안 / 김형모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9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37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3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30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1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18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3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09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07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발행년 2006 

  • 조회 수 1100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97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95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9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86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7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발행년 2003 

  • 조회 수 1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