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人文科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56144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Arguments over Personhood, the Principle of Species and the Right to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cerns on Abortion


  • 저자[authors] 장동익 ( Chang Dong Ik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人文科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1No.-[2018]
  • 발행처[publisher]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41-272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격체, 종의 원리, 인간 유전자, 쇼비니즘, 생명의 권리, Personhood, Principle of Species, DNA, Chauvinism, Right to Life


http://www.riss.kr/link?id=A105956144


국문 초록[abstracts]


낙태의 도덕성에 관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는 모두 생명의 권리를 부여하는 특성을 밝혀야만 한다.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는 권리이론에 기초해 있으며, 생명의 권리 유무에 의해 태아의 도덕적 지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아가 생명의 권리를 가진다면, 도덕적 존중의 대상이 될 것이며, 생명의 권리를 가지지 않았다면,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물론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생명의 권리를 부여하는 특성을 나름대로 각각 제시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자신들이 제시하는 특성이 생명의 권리를 부여하는 이유나 근거가 무엇인지 제대로 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이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도 않는다. 사실상, 생명의 권리를 부여하는 특성을 제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같은 권리 이론에 입각한 낙태에 관한 주장은 어려움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권리 이론에 근거하는 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넘어서 심지어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이다. 권리 이론에 의거한 입장, 즉 진보주의와 보수주의 모두가 공통된 운명에 처해 있다. 이 논문에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생명의 권리를 부여하는 이유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논구할 것이다. 실제로 이들은 이런 이유와 근거를 제시할 능력을 애초에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를 바탕으로 권리이론에 근거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제시하는 윤리적 관점은 낙태의 윤리적 관점으로 좋은 기능을 하지 못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When it comes to the issue of ethical concerns on abortion, both liberalists and conservatives are urged to clarify their position with which they can grant a right to life because their views have been founded on the rights theory from the duty-centered ethics and moral position of fetus over whether fetuses are given the rights to life or not. If fetuses have a right to life, they should be esteemed to be respectable and not to be killed in any society, or if they do not have it, we don’t need to take care of them from the moral standard. Though liberalists and conservatives have tried to presen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which give a right to life to living creatures, they couldn’t come up with offering the proper reasons or grounds for giving a right to life to them. Worst of all, they don’t seem to have much interest in suggesting some reasons. It is so difficult for liberalists and conservatives alike to suggest the characteristics which give a right to life,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not providing evidence which this characteristics would give a right to life. As long as it is based on the theory of rights, it is even impossible to present some reasons concerning giving a right to life. Both liberalists and conservatives are in the same fate of all positions in relying on the rights theory of morality.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at liberalists and conservatives relying on the rights theory can’t show some reasons why their characteristics give a right to life to living creatures, and I will try to show they have not the capacity to do so because they are based on the rights theory. I will suggest, thus, conservatives and liberalists based on the rights theory would not offer a justifiable solution we can adopt and would not produce a good ethical view in terms of abor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발행년 2009 

  • 조회 수 1146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1137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37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34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3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4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1120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발행년 2013 

  • 조회 수 112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18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14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09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발행년 2004 

  • 조회 수 1109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발행년 2006 

  • 조회 수 1105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01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발행년 2017 

  • 조회 수 1101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97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발행년 2013 

  • 조회 수 1097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87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