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혁신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20184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 효율성 분석

= An Efficiency Analysis of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 Focusing on the cases of research departments in K Research Institute -



  • 저자[authors] 황현덕(Hyun-dug Hwhang),정선양(Sun-yang Ch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혁신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혁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DEA,효율성분석,정부출연연구기관,BCC 분석,CCR 분석,Efficiency Analysis,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BCC analysis,CCR analysis




국문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특정 출연연을 구성하고 있는 연구부서의 효율성 분석을 통해 정책적 의사결정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DEA(자료포락분석) 방법론을 통해서 9개 연구부서로 구성되어 있는 K 연구원의 최근 5년간 투입-산출 자료를 중심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투입변수는 연구인력과 연구비로 산정하였으며, 산출변수는 논문, 특허(R&D 효율성)와 기술료, 기술이전(R&BD 효율성)으로 구분해서 실시하였다. 각각의 분석 결과 ICT 부서에 대한 상대적 효율성이 낮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해당 부서는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 등의 변화가 필요함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은 출연연의 R&D 효율성을 실제 출연연 데이터에 적용하고 검증해 봄으로써 학문적인 성과 외에 현장적용의 실무적 기여를 하였으며, 과기정통부 산하 25개 출연연의 구성이 유사한 바 다른 출연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확보하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present the policy decision data through an efficiency analysis of the research departments that constitutes the specific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 Specifically, the analysis focused on the input-output data of the K research institute which consists of 9 research departments in the last 5 years through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ology.    The input variables consisted of research personnel and research funds, and the outpu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paper, patents(R&D Efficiency), technical fee, and technology transfer(R&BD Efficiency). Each analysis results found that ICT department was  relatively less efficient, and based on this, it explained that the department needs change in establishment of strategy to improve efficiency.    This paper practically contributed to field application in addition to academic achievements by applying and verifying the R&D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 to its actual data, and secured general availability applicable to other research institutes as the composition of 25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re similar.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948 9 보건의료 의료분야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규제 현황 고찰 및 개선방향 연구 / 조한범 2018  88
3947 23 연구윤리 황우석 이후 연구진실성 거버넌스의 변화 / 김명심 2015  88
3946 18 인체실험 Assessing State Stem Cell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How Has State Funding Affected Publication Trends? 2015  89
3945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 기증·이식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지혜 2011  89
3944 18 인체실험 미국 댄 마킹슨 사건을 통해 바라본 연구 관련 이해상충의 문제 / 김은애 2016  89
3943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바르도의 이해를 통한 죽음준비교육 / 양정연 2013  89
394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394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의 기증계약 / 안법영 2004  90
3940 15 유전학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유전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유전간호 역량 / 최현경 2014  90
393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의뢰와 회송에 대한 보호자 및 의료인의 경험 / 이정임 2011  90
393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의 주요내용과 민법상의 몇가지 문제점 1999  90
3937 4 보건의료 철학 의료기관 종사자를 위한 일본의 재해대책 매뉴얼 소개 / 김수진 2018  90
3936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리적 검토 / 안병하 2018  90
3935 9 보건의료 원격의료시스템에서 심장박동기의 보안 위협 모델링 / 박진우 외 2018  90
393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연장 · 질병없는 미래를 꿈꾼다 ·· 바이오신약 / 장인진 2004  91
3933 15 유전학 Direct to Consumer 유전자 검사의 생명윤리적 쟁점과 안전한 시행 방안 연구 / 박수경 2017  91
3932 9 보건의료 맞춤형 급여체계 도입 이후 의료급여제도 현황과 정책과제 / 신현웅 외 2016  91
» 1 윤리학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성과 효율성 분석 / 황현덕, 정선양 2018  91
3930 1 윤리학 ‘개인의 명예 존중’과 ‘사생활 보호’ 관련 뉴스 보도에 관한 연구 / 최경진 2018  91
3929 15 유전학 Clinical Development of Gene Therapy Needs a Tailored Approach: A Regulatory Perspective from the European Union 2014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