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29414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저자[authors] 정미라,정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디지털융복합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7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9-26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표준주의지침, 임파워먼트, 인지도, 수행도, 간호대학생,Standard Precautions, Empowerment, Awareness, Performance, Nursing Student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간호 대학생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전남지역 2개 대학의 임상실 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 귀분석결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도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77.7%였다(F=579.84,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표준주의지침 인지도를 높 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empowerment,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in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8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in the two colleges located Jeonnam.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awareness predict 77.7% (F=579.84, p<.001) in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wareness of the standard precaution strategy program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차이

  3.4 대상자의 임파워먼트, 표준주의지침 인지도 및 수행도의 상관관계

  3.4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6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9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966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5
96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6
964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6
96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962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7
96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의 장단점 / 조재원 2005  437
960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959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 / 박지예 2018  437
95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7
95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7
95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2014  438
955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9
95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
95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
95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0
951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95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94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