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63009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저자[authors] 구하영
  •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32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윤석준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리베이트 쌍벌제
  • 소장기관[Holding] 고려대학교 도서관 (211009)
  • UCI식별코드 I804:11009-000000082959

국문 초록 (Abstract) 의약품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고, 실제 비용부담자인 소비자보다 의료인이 의약품의 효능과 안전성 정보를 더 많이 가지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지니는 특성을 지님에 따라, 정부가 생산, 제조, 유통, 가격 전 과정을 규제하는 산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약품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인의 부당한 음성적 경제적 이익을 취득하는, 이른바 리베이트를 적절히 규제함으로써 국민의 의약품 비용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된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의 의약품 비용 부담 완화 효과 및 일반 사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11월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정책 도입 전후의 약가 변화 분석을 통해 본 정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직후인 2012년 4월에 시행된 약가제도 개편 이후의 의약품 가격 비교를 통해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이후 정책적 효과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고시하는 급여 및 비급여 의약품 중 급여 의약품을 대상으로 투여경로코드 (내복, 주사, 외용) 및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을 구분하여 의약품 878개를 대상으로 단절적 시계열 분석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을 수행하여, 단절이 일어난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정책 도입 이전 및 이후 그리고 의약품 약가인하 정책 도입 이후의 추세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이후 리베이트에 대한 사회의 관심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구글트렌드의 키워드 빈도수 분석을 수행하였고, 리베이트라는 단어의 검색량과 리베이트 관련 뉴스 건수를 분석하였다.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모두에서 의약품 약가가 인하되는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으며, 내복, 주사, 외용제로 구분하여 살펴본 투여경로코드별로도 의약품 약가가 인하되는 유의미한 결과는 없었다. 특히, 약가인하정책 도입 이후에는 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내복, 주사, 외용제 모두에서 단절적 시계열 분석 결과 기울기가 뚜렷한 하향 선으로 나타나, 약가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수 있었고, 이는 p-value가 0.001보다 작아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임을 확인되어,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이후의 기울기와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리베이트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구글트렌드 분석 결과에서는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이후, 리베이트 검색 빈도수와 뉴스 건수 모두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리베이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급여 의약품의 약가인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즉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 목적 중 하나인 약품비 부담 증가를 완화하겠다는 목적 측면에서 볼 때, 리베이트 제제를 통한 즉각적인 약가인하 효과는 없었다. 다만, 구글트렌드의 리베이트 검색량과 뉴스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아,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 정책이 리베이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일부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되어, 의약품 투명성 제고가 필요하다는 인식의 변화를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발행년 2014 

  • 조회 수 101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발행년 2002 

  • 조회 수 1014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발행년 2012 

  • 조회 수 1013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1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발행년 2015 

  • 조회 수 1009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발행년 2016 

  • 조회 수 1006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03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발행년 2015 

  • 조회 수 998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988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987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발행년 2019 

  • 조회 수 982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발행년 2012 

  • 조회 수 980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발행년 2011 

  • 조회 수 98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발행년 2014 

  • 조회 수 979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발행년 2014 

  • 조회 수 976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발행년 2014 

  • 조회 수 97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발행년 2018 

  • 조회 수 974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발행년 2013 

  • 조회 수 974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발행년 2018 

  • 조회 수 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