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33234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of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 자[authors] 신수경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v, 68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영란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19. 2
  • DDC[DDC] 5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53823

국문 초록 (Abstract) 
생명윤리의 올바른 이해는 사회 전반에 걸친 윤리적 쟁점에 대해서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오늘날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생명윤리의 중요성이 함께 대두되고 있으며, 학교는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을 잘 반영하여 학생들이 생명윤리에 대한 바른 인식을 함양시킬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차시로 구성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작 전과 후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과 생명윤리교육의 실행방법을 파악하였다. 또한, 중간과제와 실험 보고서를 통해서 예비과학교사들이 생명윤리를 인식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후 실험반 예비과학교사들 중 7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과학교사들은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심리반응 단계, 인식형성 단계, 인식확장 단계를 갖는 경향성이 있었다. 실험반은 프로그램을 통해 반성적인 심리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며, 나아가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확장하였다. 둘째, 실험반은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실천의지를 보였다. 이들은 설문지에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생명윤리 교수학습방법에 시청각 수업과 동영상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실험반 예비과학교사는 학년이 높을수록 구체적인 생명윤리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 understanding of bioethics allows us to make reasonable judgments about ethical issues throughout societ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bioethics is emerging as th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today. The school should reflect the social trends and educate students to raise awareness of bioethic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5 lessons and applied to an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start of the program, pre - test and post - test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necessity of bioethics and how to implement bioethics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an intermediate task and experimental reports, this study analyzed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aspects of bioethics recognition. Seven of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terviewed to examine changes in perception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had a tendency to have a psychological reaction phase, a cognitive formation phase, and a cognitive expansion phas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erception of bioethics. The experimental group tended to show a reflective psychological response through the program, and furthermore, the awareness of bioethics was strengthened and expande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recogniz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through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and showed the will to practice it. They responded most to audiovisual classes and videos in the bioeth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addition, the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uggested specific bioethics education methods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4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348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9  379
34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3485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8
348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8
3483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34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3481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8
348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3479 4 보건의료 철학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들의 전문역량, 활동 현황 및 발전방향 / 권정혜 2018  378
3478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7
3477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476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77
34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47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7
3473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7
3472 18 인체실험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이민규, 류화신 2015  377
3471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70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69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