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아동청소년복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20961 
Q방법론을 활용한 생명존중의 인식유형과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 Type and Component Factor of Life Respect Using Q Methodolog

  • 저자[authors] 이지영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소희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복지학과 아동청소년복지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생명존중
  • 소장기관[Holding]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3)
  • UCI식별코드 I804:11043-000000068073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tudy on Perception Type and Component Factor of Life Respect Using Q Methodology Ji Young Lee Department of Child & Youth Welfare The Graduate Schoo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for life respect and to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life respect.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1. What is perception type for life respect? 2. What is characteristics by perception types for life respect? 3. What is component based on perception of life respect? The Q method, which is a subjec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to carry out this study. We obtain statements for Q population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 questionnaire, and an interview to confirm the types of perception for life respect in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Q sample was selected over the course of 4 validation, and the Q sample was confirmed by reliability test. P Sampling of 60 persons was selected by 5 experts of daycare center director and professor with highly relevant job to study subject, and field expert relevant to life respect, experts working in both fields of child and life respect in the third stage. Q-sorting was performed to classify selected Q statements based on  selected P samples in the fourth step.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QUANL-PC program in the fifth step.   Firstly, findings showed perceptions with five types for life respect. It was named after reflecting interpretations for characteristics by type, and confirmed by expert content validity. It was based on a 5-point scale, and revision- revalid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considered naming by type from the experts who carried validity. Final confirmed naming is as follows: 1 type is 'a common-sense seriousness', 2 type is 'an active human-centeredness', 3 type is 'an objective onlooking', 4 type is 'a natural circulation', 5 type is 'a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findings of Recognition characteristics by type for Life Respect  represented Type 1, named 'a common-sense seriousness', regarded value of for life respect as common sense, such as a dignity of life itself. Type 1 could be embodied in life respect on a daily basis rather than realized by means of external social system or policy. Type 2, named 'an active human-centeredness', emphasized needs for commitment and care to save lives. Type 3, named 'an objective onlooking' was a group which was aware of life respect based on objective and realistic perception. Thus, Type 3 stressed that awareness for life respect must be linked with practical activities. 4 type, called 'a natural circulation', perceived that object and scope of recognition were not limited to human life but that all life, including nature and plants. 5 type, as 'a social responsibility type', was interested in respecting life through socially sensitive events. 5 typ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ocial institutional stability network.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ive-type perception for life respect. Also, in educating a life respect, we should consider including necessity of active practic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 and education for life respect reflecting a social phenomenon rather than just understanding a life respect only at the level of common sense, value ​​and dignity for life respect, and human-centered life respect and perception.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components for life respect education. Also,   we hop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will be developed and educated in education practice.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명존중의 특성과 구성요인 확인하기 위하여 생명존중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생명존중 인식유형을 바탕으로 한 구성요인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절차에 따라 생명존중 인식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에서는 Q모집단 구축을 위해 문헌연구, 설문조사, 인터뷰를 단계별로 실시하여 진술문을 확보하였다. 2단계에서는 4차에 걸친 타당화를 통해 Q표본을 선정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통해 Q표본을 확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연구의 특성상 연구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직업을 가진 원장 및 교수, 생명존중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현장 전문가, 유아와 생명존중, 두 분야의 공통 전문가 5명 총 60명의 P표본을 확정하였으며, 4단계에서는 선정된 P표본에게 Q표본 진술문을 분류하게 하는 Q-sorting을 진행하였다. 5단계에서는 QUANL-PC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유형은 5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특성에 대한 해석 내용을 반영하여 명명 한 뒤, 이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거쳐 확정되었다. 내용타당도는 5점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타당도를 진행하는 대상자들이 제시하는 유형별 명명을 고려하여 수정-재수정 과정을 거쳤다. 최종 확정된 유형멸 명명은 1유형은 ‘상식적 비심각형’, 2유형은 ‘적극적 인간중심형’, 3유형은 ‘객관적 방관형’이며, 4유형은 ‘자연적 순환주의형’, 5유형은 ‘사회적 책임형’ 이다. 두번째 단계인 생명존중 인식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유형은 ‘상식적 비심각형’으로 생명 존중의 가치를 생명 그 자체의 존엄함 등 일반적 상식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들은 생명존엄의 가치는 외부의 사회적인 제도나 정책 등 장치에 의해 실현되기 보다는 일상적으로 생명에 대한 존중으로 구현 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2유형은 ‘적극적 인간중심형’으로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헌신과 배려가 필요로 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3유형은 ‘객관적 방관형’으로 생명존중에 관해서 객관적이고 현실적 인식을 바탕으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생명존중에 대한 인식이 실천적 활동으로 이어져야만 의미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4유형은 ‘자연적 순환주의형’으로 인식의 대상과 범위를 인간생명에만 한정하지 않고 자연과 동․식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이 존중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5유형은 ‘사회적 책임형’으로 사회적으로 민감한 사건 사고 등을 통해 생명 존중에 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이러한 인식은 사회적 제도적 안정망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생명존중을 인식하는 유형이 크게 5가지로 구분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명존중을 교육함에 있어 상식적 수준에서만 생명존중을 이해하며, 깊은 고민을 하지 않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생명존중의 가치와 존엄성, 인간중심의 생명존중, 인식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 실천의 필요성, 자연과 인간의 공존, 사회현상을 반영한 생명존중 교육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생명존중 교육 프로그램에 구성요소를 제시한 것으로, 향후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 실천현장에서 교육되기를 기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90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7
1907 15 유전학 한국 의료제도와 유전상담 서비스의 구축 / 김현주 2011  258
1906 1 윤리학 불교에서 보는 생명의 탄생과 죽음의 문제/ 하유진 2009  258
1905 13 인구 저출산 현상에 대한 한자녀 및 다자녀 가정 어머니의 인식탐색 / 김정숙 2006  258
1904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 보험약가결정: 문제점과 시사점 / 권혜영 2010  258
1903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2018  258
1902 15 유전학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관련 해외 규제 현황 및 국내 생명윤리법의 향후 과제 / 류화신 외 2017  258
1901 15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기능 검사를 통한 약물 스크리닝 기법/이동희 2015  258
1900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 김원정 2015  259
1899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 비교 / 김재민 2015  259
1898 13 인구 저출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임혜숙 2007  259
189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임종희 2017  259
1896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 - 인도네시아 / 손지영 외 2017  259
1895 5 과학 기술 사회 헬스케어 클라우드 동향과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개발 사업 / 최종수 외 2018  259
189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죽음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상하 외 2018  259
1893 9 보건의료 일 지역주민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및 정신보건사업 요구도 조사 / 정정임 2019  259
189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 교육 이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관련 지식, 인식 및 태도의 차이 / 박미라, 제남주 2018  259
189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890 5 과학 기술 사회 법적 논증과 관련한 인공지능연구의 현황/김성룡 2011  260
1889 2 생명윤리 게임 이론을 통한 생명윤리법 입법과정 분석 / 현승효 외 2015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