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교육학과 생물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22976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Ethical Dilemma Solution Instruction on Decision-making Ability in Life Science Ⅰ

  • 저자[authors] 지양석
  •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116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정은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교육학과 생물교육 2018. 8
  • DDC[DDC] 370
  • 발행국(발행지)[Country] 광주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 윤리적 궁지 해결 모형,의사결정 능력,SSI,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생명윤리
  • 소장기관[Holding]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224010)
  • UCI식별코드 I804:24010-000000059081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enhance scientific literacy,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the 2015 revision sets scientific problem-solving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as core competences and emphasizes student-learning skills. This requires the students to have a learning experience with specific decision-making activities. In this study, worksheets for improving decision-making ability based on ethical dilemma solution model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Life ScienceⅠ, and it looked at the impact it has on the decision ma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class. 6 topics related to life science I were selected; 'Huntington's chorea', 'Zika virus', 'Coffee cultivation method', 'GMO', 'Testing cosmetics on animals', and 'Brain science'. And 5 factors of decision-making steps were included in the worksheets; ‘Identification of problem’, ‘Generation of alternatives’, ‘Identification of values for selection criteria’, ‘Evaluation of alternatives’, abd ‘Prediction of consequence’. 6 lessons were applied to 59 10th grade students for 2 weeks. After handing out the worksheets to the students, they were introduced ethical dilemma and the problem was then identification and described. The relevant information was distributed, the issues were explained in the biological context, and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worksheets were answered individually. The decision-making ability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showed that the student's decision making skills improved(p<.001). By the factors of decision-making steps, the scores of 'Identification of problem', 'Generation of alternatives', 'Evaluation of alternatives' steps were increased meaningfully(p<.001) and those of 'Identification of values for selection criteria' and  'Prediction of consequence' were also increased meaningfully(p<.01). The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heets in each class showed steady rise in scores of decision-mak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Identification of problem` steps and ‘Prediction of consequence’ steps(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Generation of alternatives’ steps, ‘Identification of values for selection criteria’ steps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steps(p>.05). The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heets in each topics showed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p>.05). In the steps of the `Identification of proble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between 'Coffee cultivation method' and 'Testing cosmetics on animals'(p<.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t of the steps(p>.05).   Most students replied to survey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se classes and didn’t feel difficulty. And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these classes continuously and got some help to think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thical dilemma solution instruction are effective in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ability, and the students had positive thoughts about this instruction. A variety of topics and activities should be explored and applied differently for more effective ethical dilemma solution instruction.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 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적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핵심역량으로 정하고 이에 대한 교수-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의사결정 활동의 학습 경험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윤리적 궁지 해결 모형에 근거하여 의사결정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활동지를 개발하여 생명과학Ⅰ 수업에 적용하였고, 이러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고등학생의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생명과학Ⅰ과 관련된 내용으로 ‘화장품 동물실험’, ‘헌팅턴 무도병’, ‘GMO’, ‘뇌과학’, ‘지카 바이러스’, ‘커피 재배 방식’ 등 6개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학생용 활동지에는 각 주제에 대한 윤리적 궁지 상황이 제시되고 이에 대해 학생들이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5개의 의사결정 요소(문제 인식, 대안 생성, 가치 준거 설정, 대안 평가, 결과 검토)가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2개 학급 59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6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활동지를 배부한 뒤에 윤리적 궁지 상황을 소개하고 상황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여 서술하게 하였다. 안내 자료를 배부하고 쟁점과 관련된 생물학적 내용을 설명하고 활동지에 제시된 질문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응답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업 전과 후에 실시한 의사결정 능력 검사 결과, 학생들의 의사결정 능력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의사결정의 활동 단계별로 살펴보면, ‘문제 인식’과 ‘대안 생성’, ‘대안 평가’ 단계에서는 크게 향상되었고(p<.001), ‘가치 준거 설정’과 ‘대안의 예측’ 단계에서도 향상되었다(p<.01).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의사결정을 위해 사용한 활동지를 차시별로 분석한 결과, 의사결정 능력 점수의 완만한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계별로는 ‘문제 인식’ 단계와 ‘결과의 예측’ 단계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지만(p<.05), ‘대안 생성’, ‘가치 준거 설정’, ‘대안 평가’ 단계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보이지 않았다(p>.05). 활동지를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5). 의사결정의 활동 단계별로 살펴봤을 때 ‘문제 인식’ 단계에서는 ‘커피 재배 방식’과 ‘화장품 동물실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나머지 단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매우 흥미가 있었다고 응답했으며 그 내용에 대해서는 대부분 쉬웠다고 답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이 수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싶어 하였으며, 생명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인 문제점을 바라보는 시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은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의사결정 능력에 향상을 가져왔고 학생들은 이러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보다 효과적인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을 위해 다양한 주제와 활동 방법 등을 모색하고, 연구 대상을 달리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488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기도 경험 / 박순복,이원희,오경환 2017  379
348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9  379
348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병동 간호사의 죽음불안 및 임종간호태도/김성자 2015  379
3485 15 유전학 유전적 연관 및 유전자-유전자간 상호작용 분석 / 정지원 2011  378
348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8
3483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34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 이금미 2007  378
3481 20 죽음과 죽어감 생의 마감에 관한 결정의 법적 측면 : 한국의 경우 / 박준석 2012  378
348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의 보호와 관리방안 / 최중명, 오인환, 오창모 2012  378
3479 4 보건의료 철학 우리나라 임상심리학자들의 전문역량, 활동 현황 및 발전방향 / 권정혜 2018  378
3478 1 윤리학 전문상담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김선영 2018  377
3477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476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77
347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 간호사의 부서이동 태도 / 권예원 2016  377
3474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7
3473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7
3472 18 인체실험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이민규, 류화신 2015  377
3471 9 보건의료 태아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활용전망 / 이시원 2017  376
3470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3469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