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자료
출처 : KTV 생방송 대한민국1부 
방송일자 : 2019-02-18 
키워드 : 연명의료, 존엄사법, 말기환자 
관련링크 :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70240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00분

"존엄한 죽음 선택"···11만 명 의향서 작성 [현장in]

방송일 : 2019.02.18 재생시간 : 04:17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70240




2019-02-26 14;02;50.jpg


임보라 앵커>
말기 환자의 연명 의료를 중단할 수 있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 1년이 됐습니다.
'존엄사법' 으로도 불리는 이 법이 시행된 뒤 삶의 마지막을 스스로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현장인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우리나라에서 종합병원 최초로 호스피스 병동 운영을 시작한 서울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이곳에서 20년 가까이 호스피스 간호사로 말기 환자들을 보살피고 있는 박명희 간호사는
환자들이 삶의 마지막을 편안히 보내는 일이 무엇보다 소중하고 보람된 일이라고 말합니다.
인공호흡기나 항암제 투여 등 환자의 생명만을 연장하기 위한 연명 의료 대신 자연스러운 죽음에 이르는 길을 선택한 환자와 가족들은 호스피스 치료에 만족해합니다.

인터뷰> 연명의료 중단 환자 가족
"주사 맞고 해도 통증이 안 낫다가 여기오니까 통증이 잡혀요 환자가 일단 더 이상 치료는 못 하는 데 편하게 가셔야 하잖아요. 연명치료 안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환자가 아픈걸 연명을 하면 고통만 계속되고 병이 낫는다고 하면 얼마든지 하죠."

환자가 회복할 가능성이 없고 연명치료를 거부한다는 뜻이 있다면 무의미한 치료를 중단할 수 있는 '연명 의료 결정법이 시행되면서 환자와 가족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명희 /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센터 수간호사
"매스컴에서 많이 얘기가 되면서 일반 대중들의 인식이 예전보다는 호스피스에 대한 관심이나 연명의료를 생각해 보는 이런 관심이 상당히 많이 늘어난 것 같아요.“

'연명 의료 결정법' 시행 1년, 어떻게 바뀌었을까.
법 시행 후 연명 의료를 중단하거나 유보한 환자가 3만 6천 명을 넘어 임종 문화가 점차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명치료를 하지 않겠다고 미리 의사를 밝히는 사전 연명의료 의향서를 작성한 사람도 1년 새 11만 5천여 명을 넘어,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결정하는 문화가 서서히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다음 달 28일부터는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절차가 더 간편해집니다.
지금은 환자가 연명 의료를 중단하려면 '배우자와 직계 존비속' 전원의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앞으로는 '배우자와 1촌 이내 직계 존비속'으로 범위가 줄어듭니다.
또 중단할 수 있는 연명 의료의 범위도 늘어나는데 현재는 심폐소생술 등 4가지이지만 앞으로는 수혈, 체외생명유지술, 승압제 투여도 중단할 수 있게 됩니다.

녹취> 김명희 /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사무총장
"부모나 자식에 한정해서 전원 동의하면 연명의료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될 예정입니다.
또 앞으로 본인 스스로 삶의 마무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삶 속에서의 죽음을 생각할 수 있는 문화가 마련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연명의료 결정이 더 쉬워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제도적 뒷받침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여전히 환자 본인보다 가족 결정에 따른 경우가 전체의 67.7%로 더 많았고
호스피스 보조활동 서비스제공기관은 전체 간병 기관의 47.5%에 불과해 인프라와 인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인터뷰> 박명희 / 서울성모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유닛 매니저
"실제 연명의료 계획을 환자가 직접 자기 결정을 하는 게 법의 취지인데 아직은 환자와 직접 하는 의사소통은 많이 부족해요. 환자가 스스로 선택하게끔 조금 더 이른 시기에 이런 의사소통을 의료진과 직접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연명의료 결정법이 시행된 지 1년.
(영상취재: 김명신, 노희상 / 영상편집:양세형)
앞으로 연명의료를 중단한 환자가 충분한 완화치료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관심은 물론 생애 말기 돌봄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투자도 필요해 보입니다.

현장인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1,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출처 방송일자 키워드 조회 수
공지 ! 미디어자료 이용 안내       770
34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답게 죽을 수 있는 권리 file KTV 생각의 탄생  2018-08-03  죽음, 연명의료  157
»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 선택"···11만 명 의향서 작성 [현장in] file KTV 생방송 대한민국1부  2019-02-18  연명의료, 존엄사법, 말기환자  164
32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e쏙쏙]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임종 문화가 바뀐다 (with 백수진) file 국민건강보험건강천사 Youtube  2018-11-13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임종, 죽음맞이, 연명의료결정법  247
3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이 삶에 답하다 [link] file KBS 스페셜  2018-11-08  죽음, 웰다잉, 연명의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509
30 20 죽음과 죽어감 동영상으로 보는 연명의료결정과정 file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죽음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결정제도  202
29 20 죽음과 죽어감 동영상으로 보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file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죽음,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결정제도  266
28 20 죽음과 죽어감 스스로 연명치료를 중단할 권리 생기다 [link] file Hello tv 뉴스  2018-02-06  연명의료결정법, 연명의료, 연명의료제도, 죽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76
27 20 죽음과 죽어감 하루에만 상담 100건…연명의료 중단 서약 잇따라[link] file 연합뉴스TV  2018-02-05  연명의료,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법, 연명의료결정법  116
26 20 죽음과 죽어감 마지막 선택, 아름다운 마무리 [link] file MBC 스페셜 747회  2017-09-14  죽음, 연명의료, 호스피스  283
25 20 죽음과 죽어감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존엄사이야기 file EBS 다큐 [하나뿐인 지구]  2017-01-27  죽음, 존암사, 호스피스, 말기암환자, 뇌사,안락사,연명치료,연명의료,호스피스완화의료법, 사전의료의향서  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