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08903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Medical students’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life and death

  • 저자[authors] 유효현(Yoo, Hyo Hyun),신세인(Shin, Sein),이준기(Lee, Jun-Ki)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75-200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73
  • 주제어[descriptor] 의과대학생,생명,죽음,은유,이미지,medical students,life,death,metaphor,image

초록[abstract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 재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해 형성하고 있는 은유적 이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남부권 소재 한 의과대학 학생 435명으로부터 생명과 죽음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은유적인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질적 자료들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되었 으며, 그 결과 생명과 죽음 모두에 대해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 ‘감정 관련 은유’, ‘사회․문화 관련 은유’,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해 볼수 있었다. 보다 세부적으로는 생물학․의학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발생과 성장’, ‘항상성’, ‘균형과 질서’, ‘생기와 역동성’이, 죽음의 경우에는 ‘쇠락’, ‘항상성의 붕괴’, ‘소멸과 분해’로 범주화 되었다. ‘감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감정의 표현’, ‘자연 속에서의 생동감’이, 죽음의 경우는 ‘슬픔’, ‘생각과 감정의 소멸’로 범주화 되었다. ‘사회․문화 관련 은유’ 중 생명의 경우는 ‘더불어 삶, 무리 속의 생명’과 ‘종교적 상징’, ‘생일’이, 죽음의 경우는 ‘관계의 단절’, ‘장례 그리고 사후세계’로 범주화 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상적 상징 관련 은유’에서 생명의 경우는 ‘타오르는 불꽃’, ‘교류와 순환’, ‘주체성, 의지 그리고 가능성’이, 죽음의 경우는 ‘무와 소멸’, ‘완전한 어둠’, ‘끝이 아닌 죽음’, ‘돌이킬 수 없고 불가항력적인 순간’으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생명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은유적 이미지는 의학교육과정에서 의과대학생들의 생사관 확립을 위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목차[Table of cont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etaphorical image forming about the life and death of students of medical school in Korea.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we collected metaphorical images and description about life and death from 435 students of medical schools in southern reg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in an inductive way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students’ metaphoric images fall into four broad categories: biology and medicine, emotion, society and culture, and abstract symbol. More specifically, in the biological and medical metaphors, images of life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eration and growth , homeostasis , balance and order , vitality and dynamics’, and images of death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cline’, ‘collapse of homeostasis’, extinction and decomposition . In the case of metaphors related with situation an state, life was represented as expression of emotion and vitality in the nature , and death was represented as sadness and disappearance of emotion . In the case of metaphors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life was represented as living together in community’ and religious symbol’, ‘birthday , and death was represented as disconnection of relationship , funeral and afterlife . Finally, in the abstract symbolic metaphor, life is described as ’flaming fire’, ‘exchange and circulation’, ‘subjecthood, will and possibility’, and death is described as ‘nothing and extinction’, ‘total darkness’, ‘death which is not the end’, ‘irrevocable and irresistible moments’. The various metaphorical images of life and death will be used as basic date in medical education for improving medical students’ perspective on life and death.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병리사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 조윤란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통해 태어난 자의 친자관계에 대한 법률안의 제안 / 성윤미, 김숙정

발행년 2012 

  • 조회 수 968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발행년 2016 

  • 조회 수 964

11 피임 윤리적 관점에서 본 응급피임약/최진일

발행년 2015 

  • 조회 수 95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의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전.후 연명치료 비교 / 김현아

발행년 2014 

  • 조회 수 959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발행년 2019 

  • 조회 수 9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과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자신감/정민

발행년 2016 

  • 조회 수 954

15 유전학 게놈프로젝트의 현황과 전망 / 윤충효

발행년 2001 

  • 조회 수 95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 이지애

발행년 2009 

  • 조회 수 952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947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유양숙, 조옥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945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발행년 2015 

  • 조회 수 941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발행년 2005 

  • 조회 수 93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93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미디어 : 생명윤리에 대한 미디어의 작동방식 고찰 / 성기헌

발행년 2019 

  • 조회 수 935

5 과학 기술 사회 후쿠시마원전사고와 전문가 윤리- 공학윤리적 관점에서/이재숭

발행년 2014 

  • 조회 수 934

15 유전학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의 유용성 및 유해성에 대한 비교분석 / 김태형

발행년 2001 

  • 조회 수 933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성찰 :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법적 규제를 중심으로 / 구홍일

발행년 2007 

  • 조회 수 930

15 유전학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에 의한 인간 생식세포 유전체 편집의 윤리적 프레이밍 / 전방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927

14 재생산 기술 독일에서의 베이비박스와 비밀출산법제 / 신동현

발행년 2015 

  • 조회 수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