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11401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

  • 저자[authors] 이인재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08]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9-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생명존중,생명윤리,생명공학,생명윤리교육,또래 간 토론 수업,도덕성 발달,초등 도덕과 교육,life respect,bioethics,biotechnology,bioethics education,peer transactive discussion,moral development,elementary moral education

초록[abstracts]
[생명윤리교육과 관련하여 볼 때,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내용)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를 하면서도 ‘어떻게’ 그것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교수 · 학습의 방법)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와 적용이 뒤따르지 못했다. 생명윤리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교 급별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가르쳐야 할 내용적 특성에 적합한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하고, 관련 과목과의 유기적 연계 속에서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생명윤리 문제에 참여하여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보완해야 할 점을 내용 및 방법적 측면에서 살펴본 후, 초등학생들이 생명윤리 문제가 갖는 복잡하고 풀기 어려운 도덕적 딜레마를 올바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래 간 토론 수업”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Concerning bioethics education, although it has been discussed enough 'what' to teach, systematic studies and applications have been hardly followed the matter 'how' to teach effectively (teaching-learning methods). To obtain the effects from bioethics education, its methods which are suitable for both students' developmental level of each school phase and traits of contents have to be arranged, and it has to be performed systematically in organized connection with its relative subject. For the sake of it, it demand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in which makes students possible to take part in bioethical issues actively and eventually take a leading role in learning process. With this critical mind, after examining the present statue and the weak points of bioethics educ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aspects of its contents and methods, this thesis presents the process of 'peer transactive discussion' in order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y judge and decide rationally in solving perplexing ethical dilemmas of bioethics issue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윤리교육의 현황 Ⅲ. 초등학교 도덕과 생명윤리교육에서 또래 간 토론 수업의 의의와 교수 · 학습 과정 Ⅳ. 결론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908 1 윤리학 존재론적 생명윤리에 관한 연구 : 니콜라이 하르트만을 中心으로 / 김윤정 2005  153
2907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2906 1 윤리학 형사사법정보의 이용,제공 실태 및 입법적 개선방안 / 김기범 2016  153
290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3
290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계약법 / 이상용 2016  153
2903 5 과학 기술 사회 SNS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비교 분석/윤유동 외 2016  153
29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 장운혁, 정창록 2017  153
2901 1 윤리학 구조행위자에 대한 지원방안으로서 선한 사마리아인법 / 김병수 2017  153
2900 4 보건의료 철학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와의 관계 / 정지현 2019  153
2899 1 윤리학 노년의 삶과 정체성 / 권수현 2019  153
289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2019  153
2897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2896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 현황/Moon Seok Yoon, Gwang Hee Lee, Hwang Lee, Tae Jun Lee 2015  154
2895 15 유전학 유전자와 생명현상 / 김규원 2008  154
2894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2893 15 유전학 단일 유전자 질환에 대한 착상전 유전진단 / 이형송 2009  154
2892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 조현 2017  154
2891 15 유전학 우리나라 인체유래물은행의 유전체 정보 보호 현황과 제언 / 이연호 외 2017  154
2890 20 죽음과 죽어감 일명 ‘웰다잉법’(존엄사법)의 시행에 따른 형사정책적 과제 / 박미숙, 강태경, 김현철 2016  154
2889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의 역량 중심 전공의 수련과정 개발 / 견영기 외 2018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