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保健社會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16569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과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Health Behavior

  • 저자[authors] 이정선 ( Lee Jeongseon ), 최만규 ( Choi Mankyu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保健社會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8No.3[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9-30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 만성질환, 건강행태, 삶의 질,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hronic Disease, Health Behavior, Quality of Life

초록[abstracts]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진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의사에 대한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환자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외에서는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이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음주, 흡연,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2015)에서 고혈압, 당뇨, 비만, 고콜레스테롤 혈증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가진 1,68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은 만성질환자들에게 건강지향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건강증진 행위는 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질병을 관리하고 치료하는데 있어서 의료인의 환자 지향적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is reported that physician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mproves patients’ satisfaction and trust in their physicians, which can affect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and, in turn, their quality of life. However,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has not been actively research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chronically ill pati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drinking, smoking, and physical activity. To that end, we conducted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or 1,680 patients who were identified in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s having hypertension, diabetes, obesity, and/or hypercholesterolemia. According to the results,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contributed to inducing health-oriented behaviors in chronically ill patien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played the role of media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managing and treating chronic diseases an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48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104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1046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1045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마성민 2018  105
1044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시대 생성정보의 처리 체계 - 추론된 정보의 처리에 관한 우리 개인정보보호법의 규율과 개선 방안에 관한 고찰 / 박광배 외 2017  105
1043 15 유전학 유전자가위의 개발과 활용 / 김석중 2018  105
1042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방문한 환자에서 수면질이 제 2형 당뇨병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이정아 2014  105
1041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05
10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에 대한 연구 2015  105
1039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
1038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1037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103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형사법적 검토 / 안성준 2010  105
1035 1 윤리학 [법률상식] 사이버권리 침해 분쟁사례와 대응방법 / 김민주 2017  105
1034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5
1033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지역 종합병원 직원들의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분석/장윤하 2018  104
1032 19 장기 조직 이식 안구기증에 대한 지식이 안구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박민혜 외 2017  104
1031 9 보건의료 웰니스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과 의료 질 관리 / 조영복 외 2014  104
1030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관리 방안 / 조비룡 2018  104
1029 9 보건의료 의약품 복용 과정과 정보 검색 경험 분석 / 김현주 외 2018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