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同哲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16087 
노인을 위한 보건의료에서 ICT 적용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저자[authors] 이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同哲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3No.-[2018]
  • 발행처[publisher] 대동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5-8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e-의료윤리, ICT 보건의료,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자율성 원칙, 책임감 원칙.,ethics of e-Medicine, ICT in Healthcare, principle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principle of autonomy, principle of responsibility

초록[abstracts] 
[고령사회에서 인구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과 의료비 증가는 사회·경제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등장은 보건의료에서 질병 중심 패러다임에서 예방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 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방 패러다임은 환자 중심 의료로 실현되며, 적절한 대안으로서 보건의료 서비스에서 ICT을 권장한다. 이 논문은 고령사회에서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e-의료윤리’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e-의료윤리는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책임감 원칙, 자율성 원칙으로 구성된다.

In aged societies, the ris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health care costs from the aging population are becom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 emergence of these problems in health care provides an opportunity to shift from a disease paradigm to a preventive paradigm. A preventive paradigm is realized in the form of patient-centered care, and ICT is recommended in health care services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This article analyzes the ethical problems that could arise in ICT healthcare for the elderly in aged societies by applying the ethics of e-Medicine. The ethics of e-Medicine consists of the principle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and the principle of autonomy.]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1. 여는 글  2.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ICT의 적용  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ICT의 적용  나. 고령사회에서 보건의료 패러다임의 변화  다.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의 특징  3. 노인을 위한 ICT 보건의료의 윤리적 평가  가. ICT 보건의료의 윤리적 평가를 위한 기준의 제안 : e-의료 원칙  나. e-의료 원칙① : 의사와 환자 관계 원칙  다. e-의료 원칙② : 책임감 원칙  라. e-의료 원칙③ : 자율성 원칙  4. 닫는 글  참고문헌  요약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0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형사책임과 입법적 고찰 / 최은희 2006  277
2907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2906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2905 2 생명윤리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혜림 외 2016  277
2904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헌장의 필요성과 내용에 대한 연구/변순용 외 2017  276
2903 22 동물복지 조현병 신약개발에 사용되는 동물 실험에 대한 임상의의 고찰 / 염선영 2014  276
2902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290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6
2900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6
2899 1 윤리학 법률행위의 일부가 강행법규를 위반한 경우의 법률관계 / 강윤희 2017  276
2898 20 죽음과 죽어감 고령화 사회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발전방안 / 이미정 2005  276
2897 15 유전학 생화학적 검사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해 뮤코다당증 제3A형으로 진단된 한국인 환자의 증례 보고 / 김보람 외 2015  276
289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6
2895 18 인체실험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 임인애 2008  276
2894 7 의료사회학 의사-제약산업체 상호작용과 이해상충 관리 / 강명신, 고윤석 2012  276
2893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 AI 의료기기 규제 확립을 위한 연구 / 이선주 2019  275
2892 7 의료사회학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따른 간호사 윤리강령인식, 윤리강령 적용정도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 / 정계선 2018  275
28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유형별 규범해석과 사회적 인식도 2008  275
2890 2 생명윤리 생명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연구 / 조윤미 2003  275
2889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