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49328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ing Burden and the Way of Coping on Burnout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 저자[authors] 허수빈
  • 발행사항 김해 :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1-8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신소영 교수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학 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남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가족돌봄자,돌봄부담감,대처방식,소진
  • 소장기관[Holding]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248012)
  • UCI식별코드 I804:48012-000000012895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 소진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상급종합병원의 암센터를 내원하는 암환자 가족돌봄자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4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8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3.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돌봄부담감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6±0.82점이었다. 대상자의 대처방식의 정도는 4점 만점에 적극적 대처방식이 평균 2.47±0.48점, 소극적 대처방식이 평균 2.59±0.49점이었다. 대상자의 소진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8±0.6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은 연령(F=3.09, p=.049), 최종 학력(F=3.84, p=.024), 종교여부(t=-2.77, p=.006), 환자와의 관계(F=4.20, p=.007), 돌봄 시간(F=5.67 p=.001), 가족돌봄자의 수(F=8.94, p<.001), 월 평균 소득(F=5.05, p=.001), 경제적 부담(F=17.94, p<.001), 치료 기대(F=9.1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극적 대처방식은 종교여부(t=-2.06, p=.042)와 가족돌봄자 본인의 유병유무(t=-2.22, p=.02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극적 대처방식은 성별(t=-2.11, p=.037), 연령대(F=3.40 p=.036), 최종 학력(F=3.53, p=.032), 환자와의 관계(F=4.91 p=.003), 돌봄 시간(F=2.72, p=.047), 가족돌봄자의 수(F=9.81, p<.001), 월 평균 소득(F=5.27, p=.001), 경제적 부담(F=7.04, p<.001), 치료 기대(F=3.16, p=.02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성별(t=-2.58, p=.011), 최종 학력(F=3.68, p=.028), 종교여부(t=-2.22, p=.028), 돌봄 시간(F=6.33, p<.001), 가족돌봄자의 수(F=6.30, p=.002), 월 평균 소득(F=4.34, p=.002), 경제적 부담(F=10.45, p<.001), 치료 기대(F=4.52,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소진은 돌봄부담감(r=.80, p<.001), 소극적 대처방식(r=.4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소극적 대처방식은 돌봄부담감(r=.48, p<.001), 적극적 대처방식(r=.19, p=.02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2, p=.028)과 돌봄부담감(β=.74, p<.001)으로 나타났다(F=23.28, p<.001). 대상자의 성별, 최종 학력, 종교여부, 돌봄 시간, 가족돌봄자의 수, 월 평균 소득, 경제적 부담, 치료 기대, 돌봄부담감,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의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63.8%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성별이 여성일 때, 돌봄부담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경감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돌보는 환자의 치료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68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4667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적 정당성과 미국 각 주의 원격의료제도의헌법적 근거에 관한 연구 / 최용전 2019  1498
4666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법의 시행을 둘러싼 제 문제 / 김민우 2019  1387
4665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466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97
466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4662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8
4661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28
4660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7
4659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2
4658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7
4657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2019  873
46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2019  884
465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02
4654 8 환자 의사 관계 요양보호사의 환자안전행위에 관한 영향요인 / 문명자, 이선혜 2019  515
4653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3
465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안전 교육에서 팀 의사소통과 전문직 간 협업 / 박귀화, 박경혜 2019  606
4651 5 과학 기술 사회 선택에 관여하는 인공지능이 사용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 하대권 2019  565
4650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일반인과 의료인의 인식 차이 연구 / 안세은 2019  582
4649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