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학 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49328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aring Burden and the Way of Coping on Burnout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 저자[authors] 허수빈
  • 발행사항 김해 :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1-85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신소영 교수님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인제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노인전문간호학 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남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가족돌봄자,돌봄부담감,대처방식,소진
  • 소장기관[Holding]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248012)
  • UCI식별코드 I804:48012-000000012895

초록[abstrac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 소진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돌봄부담감과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소진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상급종합병원의 암센터를 내원하는 암환자 가족돌봄자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14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8년 8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3.0 program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돌봄부담감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96±0.82점이었다. 대상자의 대처방식의 정도는 4점 만점에 적극적 대처방식이 평균 2.47±0.48점, 소극적 대처방식이 평균 2.59±0.49점이었다. 대상자의 소진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88±0.6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부담감은 연령(F=3.09, p=.049), 최종 학력(F=3.84, p=.024), 종교여부(t=-2.77, p=.006), 환자와의 관계(F=4.20, p=.007), 돌봄 시간(F=5.67 p=.001), 가족돌봄자의 수(F=8.94, p<.001), 월 평균 소득(F=5.05, p=.001), 경제적 부담(F=17.94, p<.001), 치료 기대(F=9.1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극적 대처방식은 종교여부(t=-2.06, p=.042)와 가족돌봄자 본인의 유병유무(t=-2.22, p=.02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극적 대처방식은 성별(t=-2.11, p=.037), 연령대(F=3.40 p=.036), 최종 학력(F=3.53, p=.032), 환자와의 관계(F=4.91 p=.003), 돌봄 시간(F=2.72, p=.047), 가족돌봄자의 수(F=9.81, p<.001), 월 평균 소득(F=5.27, p=.001), 경제적 부담(F=7.04, p<.001), 치료 기대(F=3.16, p=.02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성별(t=-2.58, p=.011), 최종 학력(F=3.68, p=.028), 종교여부(t=-2.22, p=.028), 돌봄 시간(F=6.33, p<.001), 가족돌봄자의 수(F=6.30, p=.002), 월 평균 소득(F=4.34, p=.002), 경제적 부담(F=10.45, p<.001), 치료 기대(F=4.52,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소진은 돌봄부담감(r=.80, p<.001), 소극적 대처방식(r=.4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소극적 대처방식은 돌봄부담감(r=.48, p<.001), 적극적 대처방식(r=.19, p=.02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2, p=.028)과 돌봄부담감(β=.74, p<.001)으로 나타났다(F=23.28, p<.001). 대상자의 성별, 최종 학력, 종교여부, 돌봄 시간, 가족돌봄자의 수, 월 평균 소득, 경제적 부담, 치료 기대, 돌봄부담감,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의 소진에 대한 설명력은 63.8%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성별이 여성일 때, 돌봄부담감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암환자 가족돌봄자의 돌봄부담감 경감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소진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심리적 안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돌보는 환자의 치료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08 5 과학 기술 사회 人工知能(로봇)의 법적 쟁점에 대한 試論的 考察 / 김윤명 2016  457
907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58
906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에서 비혈연 골수이식을 위한 골수공여자등록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 양윤선 1999  459
905 15 유전학 조혈모세포이식 이후 발생한 UL97 유전자 597-600 해독틀내 결실이 있는 Ganciclovir 내성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1예 / 성흥섭 2015  459
904 16 환경 기후변화가 식중독 및 수인성 질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잠재적 영향 분석 / 윤시몬 2013  459
903 1 윤리학 개인정보의 정의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 -"개인정보"에 관한 헌법적 및 비교법적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성 2015  459
902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901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2011  460
900 13 인구 저출산의 정치경제학 : 프랑스 제3공화국 전반기의 인구위기와 〈프랑스 인구증가를 위한 국민연합〉 / 오경환 2010  461
899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89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897 18 인체실험 피험자 권리에 근거한 연구윤리 / 임선우 2010  462
896 1 윤리학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한국 환경형법의 인과관계와 행위자의 특정 / 조병선 2014  462
895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2018  462
894 2 생명윤리 현대사회와 생명존중사상 / 송승현 2018  463
893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892 1 윤리학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정진연 2009  464
891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와 전문직 교육- 미시적 접근에서 거시적 접근으로/손화철, 송성수 2007  465
89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생명의료윤리 인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 / 김영희, 조옥희 2013  466
889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