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19380 
응급의료센터로 전원되는 노인환자의 의료정보 공유정도와 건강결과 

= Information Sharing and Health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 저자[authors] 김형준
  • 발행사항 제주 :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최수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제주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소장기관[Holding]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249002)
  • UCI식별코드 I804:49002-000000008891

초록[abs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haring and health outcomes (length of stay in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at the hospital, and unexpected revisit to emergency department) for elderly patients transferred from long-term care hospital or facilities to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lso,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basic reference in developing standardized methods to improve the level of shared information and health outcomes for such transferred elderly patients. This stud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initial emergency examination records, emergency progress records, nursing records, and referral forms) for 452 cases of 362 elderly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transferred from July 1, 2017 to June 30, 2018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or facilities to the ED in a university hospital with more than 600 beds located in a city in Korea. The following are this study’s results: 1) The total number of cases where the participants were referred was 452; women accounted for 302 (66.8%), and the average age was 82.58 (±7.92) years. In the type of health institution from which the participants were referred, “long-term care facilities” accounted for the most with 275 cases (60.8%), and “long-term care hospitals” accounted for 177 cases (39.2%). When it came to reasons for referral, disease (94.0%) accounted for the most cases. Regarding consciousness status in referrals, the “alert” accounted for 269 cases (59.5%). In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those with “3 points or higher” accounted for the most with 142 cases (48.9%). Outcomes after ED examination showed that “Admission” accounted for the most with 278 cases (61.5%). 2)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ex (χ2=13.97, p<.001), age (t=-4.47, p<.001), charlson comorbidity index (t=5.44, p<.001), and outcome after ED examination (χ2=26.80,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s of health institutions from which they were transferred. 3) The number of shared information items was 1.33 (±2.45) on average. In terms of the number of shared information items depending on the type of health institution that transferred the patients, long-term care hospitals showed 3.35 (±2.9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0.04 (±0.25) from long-term care facilities (t=15.01, p<.001).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hared information and health outcomes, the length of stay in ED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hared information (r=-.101, p=.032).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number of the shared information items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was 3.35 (±2.92) on average out of 19, with a minimum of 0 to a maximum of 9. Meanwhile,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it was from 0 to 2 with 0.04 (±0.25) on average. It was revealed that a lot of information was missing when the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the ED,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shared information items, the shorter was the length of stay in ED.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time required to examine patients can be reduced and the patient status can be identified more effectively when more information is shared between institutions during referral, and subsequently, it influences the reduction in the length of stay in ED. Nonethel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shared information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ngth of stay at the hospital or unexpected ED revisit. Hence, it would be necessary to add the factors that may affect length of stay at hospitals or unexpected ED revisits and conduct follow-up studies repeatedl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다학제 팀 내에서의 간호사의 역할 인식과 수행 정도/ 김정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916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발행년 2012 

  • 조회 수 913

13 인구 비혼(非婚)을 통해 본 현대 일본의 가족 관계와 젠더 질서 / 지은숙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의 이식 후 고혈당 발생현황과 혈당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예측 / 제민영

발행년 2008 

  • 조회 수 911

1 윤리학 지식정보 자산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에 관한 연구 / 김선영

발행년 2016 

  • 조회 수 910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신장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임상 고찰 / 이태환

발행년 2007 

  • 조회 수 905

20 죽음과 죽어감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 신희숙

발행년 2013 

  • 조회 수 899

15 유전학 바이오뱅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주현영

발행년 2012 

  • 조회 수 899

15 유전학 성범죄 사건에서 정액 검사와 유전자 분석에 대한 다양한 결과 / 김진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898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발행년 2015 

  • 조회 수 894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장교의 의료 윤리적 가치관 / 최귀녀

발행년 2004 

  • 조회 수 893

20 죽음과 죽어감 병동형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최성은

발행년 2005 

  • 조회 수 892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발행년 2008 

  • 조회 수 892

1 윤리학 인공지능 발달에 따른 윤리학의 필요성 연구 / 이기훈

발행년 2018 

  • 조회 수 89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마지막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 / 박상은

발행년 2018 

  • 조회 수 89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김상섭

발행년 2001 

  • 조회 수 891

18 인체실험 착상 전 유전진단으로 획득된 비정상 배아를 이용한 유전질환 인간 배아줄기세포 수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890

2 생명윤리 한국사회의 도덕성과 도덕적 판단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 낙태, 안락사, 노키즈존과 임산부 배려석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최미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88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말기암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프로토콜 개발 및 효과검증 / 김은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88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생명윤리 체험 / 이경숙

발행년 2013 

  • 조회 수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