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3020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 Survey and Analysis on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Science Textbook, Science Teacher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저자[authors] 이향연,박선자,유정숙,이신영,장지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정책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No.2[2009]
  • 발행처[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33-2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10
  • 주제어[descriptor] 과학윤리교육,중학생,과학교사,과학교과서,과학기술 윤리,science ethics education,middle school student,science teacher,science textbook,eth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1)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2) teacher’s perception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cont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in 7th an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29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12 science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20 items over three sub-categories: the nature of science, the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erience on ethi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lso consisted of three sub-categories: percep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perception in middle school ethics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pinions of that.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28.3% of students learned about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school, 69.4%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n internet-copied homework and 26.4% of them had falsified experimental data. STS topics were contained in 7 of 12 units of a 7th grade science textbook but they were not relate to ethical issues. Neither ethical issue nor STS topic was not found in 8th grade science textbook. All participated science teachers were positive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y reported some barriers such as lack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nd their les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Some of them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목차[Table of content] 
I. 서론   II.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현황    1. 국외    2. 국내    3. 과학기술 윤리교육의 연구 동향   III .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연구의 제한점   IV . 연구결과 및 분석    1. 중학생의 과학기술 윤리 인식    2.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기술 윤리의 주제와 내용    3. 과학교사의 과학기술 윤리 및 교육에 대한 인식   V. 결론 및 제언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8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26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8
26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8
265 10 성/젠더 젠더-거버넌스(Gender-Governance) 관점에서 모자보건법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4  1060
264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263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2
262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26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7
260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79
259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7
258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091
257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5
256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255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2012  1097
254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101
253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4
252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8
251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250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4
24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