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16109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Knowledge and Information Need for Prenatal Genetic Screening and Diagnosis and Attitude toward Terminating Pregnancy among Pregnant Women in South Korea


  • 저자[authors] 전명희(Jun, Myunghee),신계영(Shin, Gyeyoung),김혜경(Kim, Hye-Ky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4No.4[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간호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63-47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태도,산전 기형아 검사,지식,임신,Abortion,Attitude,Genetic screening,Knowledge,Pregnancy

초록[abstract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among information needs and knowledge about prenatal genetic screening and diagnosis (I-PGSD & K-PGSD), and attitude toward terminating pregnancy (ATP) among pregnant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April 2014 in South Korea. 222 pregnant women responded to thre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questionnaire for I-PGSD consisted of 19 questions; 18 questions for K-PGSD; and 10 questions for ATP. Results: Mean scores were 80.46±11.73 for I-PGSD; 14.86±3.74 for K-PGSD; and 33.71±6.13 for ATP. The ATP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PGSD and K-PGSD score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only I-PGSD (p=.006). I-PGSD scores were higher than average on three genetic syndromes (Down, Patau, and Edwards syndrome), on management after the diagnosis of positive fetal aneuploidy, and on test result interpretation after the amniocentesis and level II fetal ultrasonogram. Conclusions: In light of current legal and moral controversy regarding terminating pregnancy and rapidly advancing prenatal genetic testing technology, more prenatal genetic education for nurses and nursing students who teach pregnant women is needed. In addition, mor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trained nurses are also required.]


목차[Table of content]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 이성수, 최혜란

발행년 2019 

  • 조회 수 87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전문직업성 / 기은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87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발행년 2016 

  • 조회 수 876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법철학적 고찰 / 남기곤

발행년 2011 

  • 조회 수 875

17 신경과학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이슬비

발행년 2019 

  • 조회 수 87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의 현황과 문제점 / 문신용

발행년 2000 

  • 조회 수 871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발행년 2013 

  • 조회 수 871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9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858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발행년 2014 

  • 조회 수 858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발행년 1995 

  • 조회 수 85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발행년 2001 

  • 조회 수 85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발행년 2014 

  • 조회 수 84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발행년 2017 

  • 조회 수 846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발행년 2004 

  • 조회 수 84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발행년 2013 

  • 조회 수 841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발행년 2016 

  • 조회 수 838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발행년 2013 

  • 조회 수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