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UTURE MEDICINE & HUMANIT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18517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설치에 관한 제언 

= A Study on Review of the Revised Bill on The Neuroethics Committee


  • 저자[authors] 이인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UTURE MEDICINE & HUMANITIES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No.2[2018]
  • 발행처[publisher] 미래의료인문사회과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7-10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00
  • 주제어[descriptor] 뇌과학, 뇌신경윤리위원회, 신경윤리, 뇌신경윤리, 생명윤리, 뇌연구촉진법, 생명윤리위원회


초록[abstracts]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was legislated in 1998 in order to provide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promoting brain research to develop advanced industrial technologies for the 21st century and to improve national welfare. Since then,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ut there have been no regulations on organizations or procedures to address the social and ethical issu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brain science.  In 2017, the government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respectively announced a revision bill on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The main contents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a Brain Neuroethics Committee to the Brain Research Promotion Act. According to the revision bill, the main task of the Neuroethics Committee is to conduct consultation and deliberation on the matters related to the convergence of brain research with other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ethical, social, and legal issues that arise when it is utilized.  The safety and ethical issues arising from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technology may be a sensitive issue with disagreements and conflicts between researchers, ordinary citizens, and social groups. Unlike the rapidly accelerating pace of advanced brain research, the process of publicizing, consulting, and inspecting ethical and safety issues is not properly implemented, which may result in a high possibility of wasteful arguments and conflicts related to brain science research. Expectations and concerns often coexist in the issues posed by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Therefore, a careful and calm response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and its implications. One of the measures for such response is establishing a Neuroethics Committee. The Neuroethics Committee has the function of collecting, reviewing, analyzing, advising, and recommending information on the issues with social significance that brain science technology can bring. In this sense, the Neuroethics Committee can serve as an institutional measure that implements the function of counsel and advice for the ethical practice of brain science research by pursuing integrated activities of ethicists and brain scientists as well as presenting public-level recommendations or agreements on the issues of neuroethics., 


뇌신경과학의 발달로 인해 기술적 수단을 동원해 뇌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과정을 찾거나 직접 이러한 구현을 해보는 뇌연구가 지속적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기되는 법적, 윤리적 이슈들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안전에 관한 이슈도 무시할 수 없는 이슈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윤리적 이슈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는 기구가 뇌신경윤리위원회이다.  뇌신경윤리위원회의 기본 기능은 자문・심의기능으로 볼 수 있다. 뇌신경윤리위원회는 구성, 절차 및 의사결정에 있어서 정치적・제도적 영향과 관련 산업계의 영향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 하고, 뇌과학 전문가, 신경윤리 전문가 뿐 아니라 공익, 시민사회단체의 대표들도 포함해 널리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위원회이어야 한다. 개정법률안의 뇌신경윤리위원회은 장관소송의 위원회로서의 위원 구성에서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특히 뇌신경윤리위원회 위원들을 위촉하는 경우 정부의 정책결정에 대해 중립적으로 정책방안에 대해서 비판적 자세를 가질 수 있는 민간계 위원의 구성비율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업무사항으로 뇌신경윤리에 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사항과 뇌신경윤리 기본정책에 관한 공공의 인식제고 및 대국민 공감대 형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뇌신경윤리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는 규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뇌신경윤리위원회의 업무, 기능과 관련하여 심의사항별 전문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는 것을 제안하며, 위원회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서 전문위원회와 사무국 전담기구를 설치한다는 규정을 두고 이를 시행령에 위임하여 입법하는 것이 적절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328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4327 20 죽음과 죽어감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석란 2016  63
4326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4325 5 과학 기술 사회 보건의료분야 리베이트 규제의 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외 2014  63
432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봉사 경험이 삶과 죽음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민희 외 2018  63
4323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4322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4321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4320 15 유전학 The challenge of personal genomics in Germany 2013  64
4319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64
4318 15 유전학 맞춤의학 시대의 개인 유전체 서열의 해독과 스마트한 이용 / 김동민 2013  64
4317 15 유전학 유전질환 등록 시스템 운영, 유전자 정보 Database 구축 및 유전자 진단 시스템 확립 / 구수경 2000  64
431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4315 20 죽음과 죽어감 소위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과 현실적용에서 쟁점과 과제 / 이석배 2017  64
4314 14 재생산 기술 기혼 여성의 난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정영민 2017  64
4313 15 유전학 인간 유전체 연구 관련 국제 특허성 연구(I) / 김소윤 2016  64
4312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4311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프로그램 코디네이터의 사별돌봄을 위한 음악 활용 인식 / 김지수 2017  64
4310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에 있어서 부자관계설정에 관한 소고 / 김상헌 2016  64
4309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제도에 대한 그리스도교 이해 / 우석민 2018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