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보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6848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 Innovating the Implementation of Law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ther Information Technology



  • 저자[authors] 박상철(Park, Sangchul)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보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보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3-162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6
  • 주제어[descriptor] 법의 기술적 구현,인공지능,자연어처리,기호논리,법정보학,기계가 읽을 수 있는 법,연산 가능한 법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of law,artificial intelligence,natural language processing,symbolic logic,legal informatics,machine-readable law,computational law

초록[abstracts]

정보기술을 통해 법의 축조⋅적용⋅보급 등 법의 기술적 구현과정을 혁신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중 특히 자연어처리 기술의 법에 대한 응용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인간 전문가의 지성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통적 법률문서로부터 정보  를 추출하여 신뢰성 있는 판단을 내리는 기술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여러 난관들이 극복되어야 하므로, 우선은 자연어로 구성된 법체계를 기호논리 체계로 재구성하고 논리성, 일관성을 강화함으로써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법” 내지 “연산 가능한 법”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 법 적용의 자동화는 법률언어의 미확정성과 법관의 재량을 부인하는 극단적인 법형식주의에 빠지지 않는 이상 인간의 판단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고, 오히려 법률가들이 경계적 사례에서의 법 창조 용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그 과정을 효율화하며 조력할 수 있다. 법의 자기완결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대륙법계의 개념법학적 전통은 이러한 기획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나, 구체계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민법 체계의 논리적, 시간적  재편이나 요건사실론 등 구체계를 극복하기 위한 학계의 기존의 노력의 성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어 가치 있는 데이터가 자동으로 축적되고 이로써 통계적 모델이 지속적으로 학습될 경우 사실인정과 증거판단에 있어 인공지능의 응용 가능성 또한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의 응용 또한 내재적 한계, 윤리적 문제가 있으나, 적어도 전문감정인과 같은 지위에서 사법의 일관성과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법계의 혁신을 기다리기 전에 우리 법이 먼저 혁신을 시작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법령 적용, 계약 관행, 증거판단과 사실인정의 체계화를 통해 이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과 정보기술  1. 법의 기술적 구현: 과거와 현재  2. 정보기술의 법의 구현 과정에의 응용 가능성: 인공지능과 기호논리 등  3. 기계의 한계와 사람의 역할  4. 각 선진 법계에서 당분간 기술 혁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  Ⅲ. 한국 법 구현 방식의 혁신 가능성  1. 법령 적용의 자동화  2. 계약 관행의 체계화  3. 증거판단과 사실인정의 체계화  Ⅳ.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고찰 / 김은진

발행년 2005 

  • 조회 수 835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의 윤리적,법적 문제 / 최경석

발행년 2008 

  • 조회 수 834

22 동물복지 실험동물과 윤리: 윤리적 동물실험의 기초를 위하여 / 추정완

발행년 2017 

  • 조회 수 832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 오진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831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828

1 윤리학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연구/ 이길호

발행년 2019 

  • 조회 수 823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 김현경

발행년 2010 

  • 조회 수 823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발행년 2006 

  • 조회 수 813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발행년 2011 

  • 조회 수 811

9 보건의료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정선영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808

14 재생산 기술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백승흠

발행년 2007 

  • 조회 수 807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5

2 생명윤리 영화를 감상한 고등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생명윤리 관점 및 의사결정 유형 분석 / 김민정

발행년 2014 

  • 조회 수 805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3

5 과학 기술 사회 영화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과 인간의 공존이 주는 의미 / 김미혜

발행년 2016 

  • 조회 수 803

1 윤리학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메타 윤리와 신경 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정결

발행년 2018 

  • 조회 수 80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마지막 24시간 동안 진통제 사용의 분석 : 내과의사와 외과의사의 비교 / 최윤선 외

발행년 1998 

  • 조회 수 800

2 생명윤리 자유주의적 생명윤리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 접근법 고찰/유수정

발행년 2016 

  • 조회 수 798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797

15 유전학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백수진

발행년 2010 

  • 조회 수 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