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사상·문화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4898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저자[authors] 김학택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철학·사상·문화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7No.-[2018]

  • 발행처[publisher]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2-5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도덕적 지위, 도덕적 주체와 객체, 목적론적 자연관, 직접적 의무, 의무와 권리, Moral Standing, Moral Subject and Object, Teleological Nature View, Direct Duty, Means and Ends



초록[abstracts]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전통적 입장은 그들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동물은 단지 인간과의 관계에서만 고려되는 간접적인 고려대상일 뿐이다. 이것이 우리가 지금까지 동물의 복지에 무관심했던 이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칸트가 이러한 전통적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그러나 칸트는 자연의 모든 존재를 내적 합목적성에 따라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 그리고 외적 합목적성에 따라 자연 전체가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가지는 통일적인 체계로 바라본다, 자연의 모든 존재는 그 자체로 목적을 가지는 존재로서 본래적인 선을 가진다. 이것은 인간이 자연의 모든 존재에 대해 직접적 의무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칸트가 부정했던 비합리적 존재에 대한 직접적 의무는 권리문제를 수반하는 ‘어떤 사람에게 어떤 것을 해야 할 의무’(a duty to someone to do something)이다. 그는 비합리적 존재에 대한 ‘어떤 것을 해야 할 의무’(a duty to do something)를 부정하지 않는다. 칸트의 목적론적 자연관은 이것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칸트는 동물, 정확하게 말하면, 비합리적 존재의 도덕적 의미나 지위(moral standing)도, 그들에 대한 직접적 의무도 부정하지 않는다. 그의 주된 관심은 도덕적 중요성을 가지는 합리적인 도덕적 주체의 행위에 있다. 또한 그는 그들의 행위에 지침이 되는 도덕 규칙과 원리에 집중하여, 궁극적으로 합리적인 도덕적 주체의 목적 실현에 관심을 두고 있을 뿐이다. 합리적인 도덕적 주체의 목적 실현은 다른 존재에 대한 잔혹한 취급을 결코 용인하지 않는다., The traditional position on animal moral standing did not acknowledge their moral standing. Animals are indirect moral objects to be considered only in relation to humans. This is why we have been indifferent to animal welfare so far. It is common sense that Kant represents this traditional position. However, in Kant's view of nature, beings of nature have theirs own ends according to its inner purposiveness; also, according to its outer purposiveness, nature as a whole has a unified system which has the relation between means and ends. Every being in nature has its own intrinsic end because it is a purposeful existence by itself. This means that humans have a direct duty to non-rational beings. The duty Kant denies to non-rational beings is merely 'a duty to someone to do something'. It brings about the problem of rights. He does not deny 'a duty to do something' to non-rational beings. Kant does not deny the moral standing of non-rational beings, nor does he deny the direct duty to them. He also does not deny their intrinsic good. What he denies is only their moral significance. Kant's main concern lies in the act of a moral subject or agent with moral importance. He focuses on the act and motive of the moral subject, and on the moral rules and principles that guide their actions. Ultimately he concerns the world in which rational beings realize their ends. In Kant, animals, i.e. non-rational beings, have no moral significance, but have moral standing as objects to be morally considered.]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서론   2. 동물에 대한 전통적 입장과 칸트   3. 칸트의 자연관과 동물의 지위   4. 수단적 존재로서의 동물의 지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 입증책임 관련 입법의 동향 /조형원 2008  47
454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인증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상일 2018  47
4546 9 보건의료 중국 사전지시(advance directive)의 현황과 쟁점/리샤, 최영춘(번역) 2018  47
4545 9 보건의료 Obesity and Obligation 2015  48
4544 15 유전학 가축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유전자기술의 활용에 관한 법적 쟁점 / 왕승혜 2016  48
454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권명숙 외 2018  48
4542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 의료분쟁조정법 시행에 따른 의료분쟁조정제도에 관한 현황과 과제 / 신현호 외 2017  48
4541 1 윤리학 의생명과학기술 법정책에서 성주류화의 필요성 - 보조생식술과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 / 김은애 외 2017  48
4540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2006  48
4539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2018  48
453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2017  48
4537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2018  48
4536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2015  49
4535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4534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2011  49
45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4532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2009  49
4531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2017  49
4530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진단술에 대한 생명형법적 고찰 / 신동일 2006  49
452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2017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