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9837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Analysis of online-base abortion issues change: focusing on online news and comments


  • 저자[authors] 김찬우(Kim Chan W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8No.10[2018]

  • 발행처[publisher]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59-56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00

  • 주제어[descriptor] 낙태죄,텍스트 마이닝,의미연결망 분석,뉴스 분석,댓글 분석,abortion,text mining,semantic network analysis,news analysis,comment analysis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온라인상의 낙태 관련 이슈를 텍스트 마이닝 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네이버 뉴스와 댓글이며, 분석 기간은 2011년 1월부터 2017년 11월까지이다. 주요 문제로는 낙태에 대한 인식 주체와 주요 사안, 그 외 주요 이슈에 대한 대응을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뉴스의 경우 전반적으로 낙태에 대한 반대 관점이 많았으며, 초기에는 생명존중과 전통적인 가족주의 입장이 주였다면 최근은 낙태죄 폐지 국민청원과 여성단체의 낙태죄 폐지 활동이 주목받으면서 이들의 입장이 대변되고 있었다. 그러나 댓글의 경우 전반적으로 낙태는 살인이라는 입장이 많았으며, 초기는 뉴스와 같은 메시지가 댓글에서도 나타났지만, 최근의 경우 군대 문제나 동성애 등이 낙태 문제에서 함께 나타나고 있어 남성의 역차별 제기나 낙태 이슈가 전반적인 여성의 권리 증진 문제로 인식하여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즉 낙태죄 폐지 이슈를 양성 갈등의 문제로 댓글에서 대응하고 있어 정치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online abortion - related issues by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 The analysis target is Naver News and Comments, and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2011 to November 2017. The major problems were to analyze the responses to abortion awareness, and other major iss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news, there were many views against abortion as a whole. In the early days, respect for life and traditional family stance was central. Recently, the abolition of the abortion crime and the abolition of abortion by the women s organization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comments, abortion was generally regarded as murder. Initially, messages similar to news appeared in comments. In recent years, military problems and homosexuality have appeared together in the abortion problem, and there were many negative views on men s discrimination and abortion issues as a general problem of women s rights promotion. In other words, the issue of abolition of abortion is responded to by the issue of positive conflict, so efforts to resolv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are needed in the future.]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기존 연구 검토  3. 분석 대상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개인정보보호가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홍대의

발행년 2011 

  • 조회 수 64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이한주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국내 이행을 위한 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 운영방안 / 오선영

발행년 2017 

  • 조회 수 6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 치유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정토마을 자재요양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현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64

15 유전학 포스트게놈 시대의 국내 유전체연구 현황 / 이준석

발행년 2015 

  • 조회 수 6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임상윤리 지원서비스 요구도 / 김상희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을 받은 여성의 선택적 태아감소술에 대한 의사결정 경험 / 장혜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 윤동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 정대현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64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발행년 2001 

  • 조회 수 65

15 유전학 Animal Biotechnology and the Non-Identity Problem

발행년 2008 

  • 조회 수 65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발행년 2011 

  • 조회 수 65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발행년 2016 

  • 조회 수 65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발행년 2015 

  • 조회 수 65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발행년 2014 

  • 조회 수 65

14 재생산 기술 고령 불임여성의 체외수정술시 최소자극법의 효용성 / 김소라 외

발행년 2009 

  • 조회 수 65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발행년 2013 

  • 조회 수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