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倫理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75286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

= Normative Ethics in the Age of Neuroscience: Can Moral Explanation Replace Moral Justification?


  • 저자[authors] 김남준 ( Kim Nam-joo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倫理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18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규범윤리학, 신경윤리학, 뇌 결정론, 환원론, 사회적 직관주의 모형, 이중과정모형, normative ethics, neuroethics, brain determinism, reductionism, social intuitionist model, dual process model


초록[abstracts]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과학의 발견 사실에 대한) 신경윤리학의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없다.”라는 주장을 검증함으로써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의 고유한 가치와 역할을 논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신경 과학과 신경윤리학이 규범윤리학에 제기하는 ‘뇌 결정론과 환원론, 그리고 자유의 지의 문제’와 ‘도덕 판단에 대한 신경윤리학의 설명 문제’라는 도전적 과제를 규범 윤리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구한다. (1) 인간의 판단과 행위의 물리적 원인과 도덕적 이유는 구분되는 것이기 때문에, 뇌의 신경 활동에 대한 신경과학의 기술적 설명이 인간의 판단과 행위의 도덕적 이유 내지 정당화 근거를 대체할 수는 없다. (2) 신경윤리학은 신경과학의 연구 결과로부터 도덕적 당위 내지 도덕규범을 도출할 수는 없으며, 인간의 도덕 판단에 대한 신경윤리학의 설명이 도덕의 규범적 근거에 기반을 둔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경과학 시대에도 도덕의 규범적 근거를 정초하고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행위를 유발하는, 즉 도덕적 정당화 기능과 도덕적 행위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는 규범윤리학의 고유한 가치와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신경과학(신경윤리학)은 규범윤리학의 고유한 역할 수행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바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규범윤리학과 신경과학(신경윤리학)의 상호작용을 조심스럽게 추구하는 것도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justify the status and roles of normative ethics in the age of neuroscience by answering the question “Can moral explanation of neuroscience replace moral justification of normative ethics?” By doing so, I have critically investigated ‘the problems of brain determinism, reductionism, and free will’ and ‘the problems of moral explanation of neuroethics to moral judgment’. (1) Although neuroscience can explain neural activity of one’s brain, it cannot replace the justifying reasons of one’s moral judgment. (2) Neuroethics cannot derive ‘ought’ or moral norms from the results of neuroscience. Although neuroethics can explain the cause of one’s moral judgment and action, it cannot replace moral justification of normative ethics. Therefore we should acknowledge the status and roles of normative ethics which justify one’s moral judgment and motivate one’s moral action. Because neuroscience (neuroethics) can indirectly contribute to normative ethics, the interaction between normative ethics and neuroscience (neuroethics) should be carefully pursu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88 5 과학 기술 사회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미래신호 예측 / 송태민 2016  119
1287 9 보건의료 연구간호사의 연구중심병원사업 인지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역량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경미, 김양균 2015  119
1286 15 유전학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숨은 그늘 / 주일우 2001  119
1285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1284 15 유전학 유전체연구의 전략적 대응방안 / 안두현 2000  119
1283 17 신경과학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2019  118
1282 20 죽음과 죽어감 중장년층의 자아 통합감과 죽음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박만자 2018  118
128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주역』의 대안적 사유 고찰 / 안승우 2019  118
» 17 신경과학 신경과학 시대의 규범윤리학 : 도덕적 설명은 도덕적 정당화를 대체할 수 있는가?/김남주 2018  118
1279 9 보건의료 위암 한약제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한약제제 무작위배정 대조군 임상시험 고찰 / 한가진 외 2017  118
1278 4 보건의료 철학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 장난순 외 2018  118
1277 9 보건의료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를 위한 모바일 웹 개발 / 고진경 2018  118
1276 1 윤리학 저작권침해소송에서 저작물성 여부에 관한 중간판결(中間判決)의 의미와 실효적 운용방안 /차상육 2018  118
1275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1274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 등 첨단의료기술에 근거한 체외배아의 법적지위 고찰/유지홍 2016  118
1273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연구 / 우예순 2008  118
1272 9 보건의료 의료광고의 표현범위에 관한 연구 : 의사와 소비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 최선호 2004  118
127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로봇 미래방향과 4차산업혁명에 따른 신사업 / 손진호 2016  118
1270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을 통한 비본질주의적 사유에 대한 의철학적 전망 / 김준혁 2016  118
1269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