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75322 


인공지능과 철인통치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플라톤의 ‘이상 국가(Kallipolis)’ 속 ‘철인 통치자’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고찰 ―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hilosopher King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philosopher king which is described by Plat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 저자[authors] 송석현 ( Song Seok Hyun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No.1[2018]

  • 발행처[publisher]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7-1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인공지능, 딥러닝, 인공신경망, 철인 통치자, 플라톤, 특이점, AI, deep-learning, ANN, philosopher king, Platon, singularity


초록[abstracts]

[국가를 운영하는 정치형태는 다양하고, 가장 대표적인 것이 법치이다. 플라톤은 ‘철인통치’를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했지만 차선 중 가장 우월한 것으로 ‘법의 지배’를 꼽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서양 고전(古典) 중 하나인 플라톤의 『국가』를 중심으로 거기에서 밝히고 있는 이상적인 국가의 모습과 그 국가를 이끄는 철인치자의 존재가 자연인이 아닌 인공지능(AI)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법치주의의 한계 극복 가능성을 살펴본다.  그를 위해 먼저 플라톤이 생각한 이상국가란 어떤 모습이고 그 국가를 이끄는 철인 통치자는 어떤 모습인지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본적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하여 최근의 딥러닝 기술에 이르기까지의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상을 살펴보며, 인공지능이 지성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많은 잠재력을 갖고 있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강인공지능’의 형태로 플라톤이 제안한 철인 통치자를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님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비록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는 많이 부족하지만 그러한 인공지능의 출현은 시간문제일 뿐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며, ‘법의 지배’아래서 살고 있는 우리세대가 기술적 발전을 통해 찾아올 특이점을 맞이하는 때에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생각해 본다., 


There are various forms of government that run the nation, and the rule of law is most representative. Plato considered ‘rule of philosophers’ the most ideal, but he referred to‘rule of law’as the best alternativ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philosopher k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particular,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cept of ideal nation and the Philosopher king which are described in 『Republic』 by Platon. Then, It checks whether characteristics of philosopher king are accomplished by AI and it also explores the way of evolution for our government.  For this purpose, it finds characteristics of the ideal nation and philosopher king at first. And the bas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rimitive technologies to state-of-the-art such as deep learning, are described in this paper. Based on them, it shows the developing and realizing the philosopher king is not the impossible mission.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large potential. Although technologies for copying and implementing neural network artificially are on the primitive stage, it’s only a matter of time before strong AI appears. At last, this article suggests an attitude of our generation, who leave under the rule of law, toward singularity the moment when AI has become so advanced that humanity undergoes a dramatic chang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688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실패유형 재조명: 복구 가능과 복구 불가능 서비스 / 윤성욱, 서미옥 2016  102
3687 1 윤리학 수형자의 치료받을 권리에 대한 법적·의료적 현황과 문제점 / 이석배 2015  103
3686 15 유전학 [과학동아 다시 읽기] 유전자 조작 어떻게 바라볼까 / 김재현 2010  103
3685 2 생명윤리 [학술자료] 기회로서의 치매 - 우리는 이 상황(도전)을 어떻게 인지할 것이며 하나의 기회로서 삼을 수 있을까/라이머 그로네마이어, 베레나 로테, 이경의 2016  103
3684 9 보건의료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최현숙, 박규용 2015  103
3683 9 보건의료 약사법상 담합행위에 관한 고찰 / 장연화, 백경희 2013  103
3682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 기반의 작업치료 진료행위 현황에 관한 연구: 2011~2015년 / 조승현, 양영애 2016  103
3681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3680 20 죽음과 죽어감 식물 상태 환자와 삶의 질 / 홍석영 2007  103
3679 5 과학 기술 사회 형사사법 분야에서의 로봇 기술 활용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 신현주 2017  103
3678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 시험운행에 관한 각국 법안의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2017  103
36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고찰과 법제화에 관한 시사점 2011  103
3676 18 인체실험 의과대학의 임상수행능력시험(CPX)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박장희 2008  103
3675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
3674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3
367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
3672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3671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3
3670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3
3669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의 완화의료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완화의료 의뢰 시 장애요인 / 이재리 외 201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