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81005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

  • 저자[authors] 배영우,이창형,양세은,정지윤,김수연,강건우,홍충만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2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재활로봇, 자율도, 상황인지, 기본안전, 필수성능,Medical Robot for Rehabilitation, Degree of Autonomy, Situation Awareness, Basic Safety, Essential Performance
초록[abstracts]

[전 세계적으로 재활로봇산업이 부각되고 있으며 국제표준기구인 IEC에서도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에 대한 개별표준을 마련하고 있다. 본 가이드라인에서는 재활로봇 허가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고 국내 제조업체가 국 제표준에 따라 재활로봇의 기본안전 및 성능을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선제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지원 하기 위해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제시 한다; 1) 재활로봇 품목 (등급)분류 2) 특성에 따른 재활로봇 세분화 방법 3) 재 활로봇 기본안전 및 필수성능. 우선, 재활로봇 품목 (등급)분류를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IEC TR 60601-4-1에 따른 자 율도(Degree of Autonomy)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현재 개발 중인 IEC 80601-2-78(DIS)의 재활로봇(Medical Robot for Rehabilitation)의 정의를 함께 적용하였다. 둘째, 제조자가 적절한 위험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할 수 있도록 재활로 봇 세분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IEC 80601-2-78(DIS)에서 제시하고 있는 재활로봇 기본안전과 IEC TR 60601-4-1에 따라 자율도에 의해 재활로봇에서 새롭게 식별될 수 있는 필수성능을 제시하였다. 본 가이드라인을 통해 도출된 사항은 국제표준(안) 및 국제기술보고서와 조화되며, 국내 업체, 전문기관 및 학계 등의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 여 마련되었다. 본 가이드라인을 통해 도출된 사항은 재활로봇 산업체의 제품 개발과 허가·심사 신청에 큰 도움이 되 리라 판단한다. 또한, 재활로봇 허가·심사의 예측가능성을 높여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며, 이로 인해 조기시장 진입을 통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 경쟁력 강화와 해외 수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Worldwide, the industry of medical robot for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robot) has been highlighted, and a particular standard for it is being prepared by IEC. This guideline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items to enhance the predictability of pre-market approval for the rehabilitation robot and to support the domestic manufacturers to preemptively possess technologies that can scientifically evaluate the basic safety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1) product classific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bot 2) A method of segmentation for the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3) basic safety and essential performance of the rehabilitation robot. First, we introduced the concept of degree of autonomy in accordance with IEC TR 60601- 4-1 to clearly define the product classification of the rehabilitation robots.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the rehabilitation robot of IEC 80601-2-78(DIS) under development is additionally applied. Secondly, we proposed a method of segmentation for the rehabilitation robots so that manufacturers can establish proper risk management process. Finally, we introduced basic safeties according to IEC 80601-2-78(DIS), and essential performances which can be newly identified by the rehabilitation robot according to IEC TR 60601-4-1. The findings derived from the guideline are in harmon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draft) and the international technical report. Those are also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from domestic companies,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academia. The findings from the guideline will be of great help for product development and the pre-market approval of the rehabilitation robot.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economic costs into healthcare market by increas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pre-market approval of the rehabilitation robot. This will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medical device industry and to overseas exports by entering the early market.]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품목 (등급)분류  2. 특성에 따른 세분화 방법  3. 재활로봇 기본안전 및 필수성능  III. 결론  감사의 말씀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을 향한 모성론과 재생산 구조의 여성주의적 고찰 / 이경애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줄기세포를 활용한 비임상시험의 미래전략 / 김기석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IVF-ET) 실패 환자에게 IVF-ET 재 시술 시 한약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 배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23 연구윤리 바이오뱅크 분야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동향에 관한 연구 / 박미영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66

15 유전학 유전정보 국외이전에 따른 국내 헬스케어산업보안 법제의 취약성 고찰 / 이보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건강보험의 이념과 의료정책 / 이규식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정보의 블록체인 활용 현황과 전망 / 김승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23 연구윤리 연구윤리와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교육 / 송동수

발행년 2018 

  • 조회 수 66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6

9 보건의료 방사선 분야의 신의료기술평가 및 건강보험 등재 현황에 관한 연구 / 조영권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Banning Human Cloning-Then What?

발행년 2001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아버지 2명, 어머니 3명의 시험관 아기 / 박성래

발행년 1998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일 지역사회 보건직 근무자의 호스피스 완화 케어 관련 인식조사 / 김미라

발행년 2010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과 구별되는 생명을 연장할 권리 / 허완중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의 한방의료기관 이용 실태 및 한방난임치료 지원사업 수요에 관한 설문조사연구

발행년 2013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외 연명의료결정법안 도입 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주은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김나원

발행년 2017 

  • 조회 수 67

9 보건의료 노인 대상의 의료기기 임상 시험 및 부작용에 대한 피험자의 인지도 조사 / 임지연 외

발행년 2012 

  • 조회 수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