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825829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영적 돌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CD Program Applied Logotherapy for PsychoㆍSpiritual Care of Late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 저자[authors] 강경아,김신정,송미경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2No.2[2009]
  • 발행처[publisher]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7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09
초록[abstract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D program of applied logotherapy for psychoㆍspiritual care of late adolesc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Keller & Song’s ARCS theory and a model for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was applied to develop this program composed four distinct phases: planning, designing, developing, and evaluation stages. Results: This program was entitled ‘Finding meaning in my life’ and consisted of 5 sess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were made up as follows:「First Secret」is ‘learning three natures of the human mind’,「Second Secret」is ‘learning creative values first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Third Secret」 is ‘learning experiential value as secon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Fourth Secret」is ‘learning attitudinal value as third method to find meaning of life’, and「Fifth Secret」is ‘Becoming the master of my life’. The sub-menu was made up of ‘Beginning’, ‘Opening mind’, ‘Learning’. ‘Laughing Song’, ‘Experiencing’.  Conclusion: This CD program applied logotherapy with flash animation technique as an emotional and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easier and more scientific application in pediatric oncology and hospice care area.,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전반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총체적인 고통을 경감하도록 돕는 정서적, 영적 돌봄 프로그램인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2006년 11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0일까지 Keller와 Song의 ARCS이론과 Kang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설계ㆍ과정을 응용하여 플래쉬 도구를 활용한 CD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청소년 후기 암 환자를 위한 “내 삶의 보물찾기”』이었다. 프로그램 개발은 <계획>, <설계>, <개발>-CD프로그램, 사용자(간호사)용 교육지침서 및 학습자용 교육용 책자, <평가>의 4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은 총 5개의 비밀을 찾는 과정으로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20분으로 구성되었으며.「비밀」로 명명된 각 차시별 구성은 의미요법에 대한 프로그램의 제작목적을 알려주는 <처음>과 6컷 만화를 통한 동기유발을 유도하기 위한 <마음열기>, 각 차시별 교육목적과 의미요법 교육이 진행되는 영상물 상영 <알아보기>, 교육내용에 대한 카타르시스를 위한 <웃음 송>,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경험하기>, 메인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끝>의 6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교육용 소책자(의미노트)를 제공하여 반복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 말기 암 환자가 있는 임상현장인 병원학교 혹은 지역사회 어느 곳이든지 컴퓨터가 가능한 곳에서는 사용할 수 있도록 CD로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램은 신규 간호사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자동과 수동 양방향의 기능을 가지고 매체조작이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 교육지침서는 전체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웃음 송>에 대한 저작권 등록은 완료된 상태로 전국의 소아ㆍ청소년 종양병동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이 교육에 대한 큰 부담 없이 의미요법 프로그램을 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임상에서 청소년 후기 말기 암 환자의 정서적, 영적 간호중재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말기 암환자 뿐 아니라 청소년 후기에 만성 및 불치의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대상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848 20 죽음과 죽어감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성에 관한 형법이론적 고찰 2010  264
1847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4
1846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1845 20 죽음과 죽어감 대만 『환자 자주 권리법』에 대한 연구 / 엄주희 2019  264
1844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184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842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1841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1840 9 보건의료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박정일 2015  266
1839 14 재생산 기술 저출산 시대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양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 변미희 2011  266
1838 1 윤리학 잊혀질 권리`` 도입의 정보윤리적 의미와 쟁점 / 임상수 2016  266
1837 9 보건의료 의약품 착색제 관련 규정 및 정보방 구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이기봉 2015  266
1836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2017  266
1835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소프트웨어의 규제 현황 연구 : 유럽, 미국의 인허가 전략 연구 / 이자연 2018  266
1834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2018  266
1833 9 보건의료 국내 질병 관리 및 건강불평등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8  266
1832 14 재생산 기술 미국에서의 대리모에 관한 최근 입법 동향- 2017년 통일친자법을 중심으로 / 진도왕 2018  266
1831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183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7
1829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