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23343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 mainly on Pusan City


  • 저자[authors] 김수정(Kim Soo 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1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인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20-3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생애말기 환자,죽음준비,호스피스 완화케어,Well-Dying,end of life period community care,end of life period patient,death preparation,hospice palliative care


초록[abstracts] 
[2018년 2월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가 환자나 가족 모두에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정착되어가고 있고, 국가가 정책적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지원하며, 관련 의료기관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생애말기는 ‘죽음에 임박한 특정 시점’이 아니라 임종기를 향해가는 시간적 과정의 연속적 개념으로 생애말기 생활기반 안정(Well-Bing)정책과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Well-Dying)정책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한다. 국내 생애말기 지원정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재택의료 서비스 미진으로 자택에 머물면서 치료하기 어려운 실정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생애말기에 있는 환자들이 임종기 생애마무리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욕구 조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호스피스 센터의 생애말기 환자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확인하고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의 만족도와 삶의 질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생애말기 커뮤니티 케어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부산광역시 호스피스센터에서 재가 서비스를 받고 있는 생애말기에 놓여있는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원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대여명이 6개월 미만의 생애말기 환자의 경우 어떠한 서비스와 선택의 기준을 하는지와 죽음준비 혹은 교육에 대한 이해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서비스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 -.321, p<.001), 서비스 선택의 기준이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β= -.237, p<.01)를 보여주었다. 서비스 선택기준이 죽음준비에 미치는 영향(β= -.200, p<.01)과 삶의 질에 있어서 죽음준비의 매개효과(β= .514, p<.001)를 분석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enforcement of life extension decision Act, it is now well understood that meaningless life extension treatment is not desirable for both patients and their family.    The government is, with its policy, supporting hospice palliative treatment and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are increasing. End of life period should not be seen just as a certain point of time near death, but be seen as continuous period of time approaching toward death. In that period, governmental support is necessary especially for living condition improvement (well being) during end of life period and for ending life (well dying). According the analysis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domestic end of life period patient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patient could not get treatment at home due to the lack of home care servic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people’s demand of establishing community end of life care system, which supports end of lif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ed of end of life period patients from Pusan area’s hospice center, and to assess satisfaction of the current service and the quality of life, and therefore to find out how to improve community care for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e have conducted a survey, filled in by the surveyor, on 205 end of life period patients who are provided with home care service from Pusan hospice center.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we could understand the criteria that patients, with life expectation less than 6 months, use to decide which service they would choose, and how well they are prepared and educated for end of life.    It is found that the patients’ criteria for choosing care services affected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ir criteria have negative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We have analyzed if their care service selecting criteria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death, and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m.    Also we have analyzed the effect of service selecting criteria on death prepa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on life quality, and found there exists mediating effect. the introduction of a number of new social 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the need to provide home support service for them has been criticized.]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217 8 환자 의사 관계 개인의료정보보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 이한주 2014  394
21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요건에 관한 법적 쟁점과 과제/ 김민우 2017  393
215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89
214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에 적합한 공통도덕 모색/목광수,류재한 2015  385
213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의 고귀성과 삶의 존엄성 : 연명의료 제도화를 위한 한 가지 제언 / 강철 2014  380
212 8 환자 의사 관계 수술환자의 권리보호에 대한 형사법적 쟁점 -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유재근 2015  378
21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21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209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208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207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206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6
20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법제화에 관한 최근동향 / 주호노 2013  365
20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20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가족들의 선택방안 /양인권 2015  361
20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 20 죽음과 죽어감 생애말기 환자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김수정 2018  354
20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 병원감염 판결을 중심으로/유현정 2014  353
199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행위와 대리승낙 / 이석배 2014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