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16031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 The Development of Hospice and Spa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Hospice Facilities Established Between 1980-2009



  • 저자[authors] 정미렴(Chung, Miryu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4No.11[2018]
  • 발행처[publisher] 대한건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호스피스,완화의료,환경,디자인,평면,Hospice,Palliative care,Environment,Design,Floor Plan



초록[abstracts] [Hospice is the wholistic caring service for terminally ill patient and his family so that he can live in dignity and maintain the quality of life until he passes away peace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hospice movement in UK, USA, Japan and Korea, to analyze space configuratio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built between 1980-2009 through case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dern hospice started in England and it has spread around the world rapidly. In Korea, hospice service was introduced even prior to US and Japan and developed in spite of poor medical environment. The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subsidies were lat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but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ystem was quickly set on the basis of precedent cases. Seco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facility is decreasing, and it has been divided into smaller clusters for the residential atmosphere. The controversy between private rooms and multi-patient room is still ongoing, and increasing facilities without in-patient service. Rather than establishing uniform and absolute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flexible space which can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such as patients’ needs, service changes, and manpower status. Third, the spaces for family members and friends to stay in both private rooms and communal spaces are increasing. Forth, Facilities for patients with different needs, such as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IDS patients, have been developed in UK and USA. Further research on of patients’ diverse needs and customized environmental support is necessary.]

목차[Table of content] Abstract  1. 서론  2. 해외와 한국의 호스피스 전개 과정과 현황  3. 호스피스 사례 시설  4. 공간구성 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사형의 심리적 억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김상균

발행년 2015 

  • 조회 수 711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발행년 2006 

  • 조회 수 71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발행년 2002 

  • 조회 수 710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발행년 2008 

  • 조회 수 710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발행년 2012 

  • 조회 수 710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70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발행년 2019 

  • 조회 수 702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701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9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69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발행년 2018 

  • 조회 수 696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694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발행년 2015 

  • 조회 수 69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발행년 2013 

  • 조회 수 693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발행년 2008 

  • 조회 수 69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발행년 2012 

  • 조회 수 690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발행년 2011 

  • 조회 수 689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발행년 2013 

  • 조회 수 687

18 인체실험 수컷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식독성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 전혜련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685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발행년 2016 

  • 조회 수 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