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9 보건의료 조회 수 421 추천 수 0 2019.01.14 18:04:00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 노년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71043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 Geriatric Nursing and Robotic Nurses

  • 저자[authors] 은 영(Young Eu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 노년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7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노년학연구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1-11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38
  • 주제어[descriptor] 노인 환자,노인 간호,제4차 산업혁명,간호 로봇,Elderly patient,Geriatric nursing,Fourth industrial revolution,Robotic nurses

초록[abstracts]

[제4차 산업혁명에서 이루어지는 기술발전은 보건의료산업과 관련되어 있다. 그 중 특히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른 환자의 안전과 관련된 간호 요구 및 일상생활 활동보조를 위한 간호 관련 로봇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간호로봇은 일상생활동작 케어용 로봇, 이동을 돕는 로봇, 인지 및 정서적 지원을 위한 로봇, 환자 간호를 보조하는 로봇, 가정에서 완화치료 상황에 적용되는 로봇 등이다. 환자에게 인지 및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로봇을 사용한 연구들에서는 환자의 긍정적 정서가 증가함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간호로봇의 활용으로 환자간호 질의 향상, 간호 간병을 위한 시스템과 환경의 편리함과 합리성 증가를 기대하게 해준다., It has been said that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greater changes in health care industry than others. A number of research on robotics in nursing have been conducting for supporting safety and daily activities of elderly patients with the increasing aging population. Many types of robotic nurses have been invented so far to assist daily activities, mobility, social communication, cognitive and/or emotional support for the disabled older adults or patients, and patient care in hospital settings as well as at home. Application of robots in a variety of nursing settings would improve quality of care for elderly patients as well as usability or rationality of caring system, resulting from that positive effects of the emotional support robots have been reported by a number of researches.]


목차[Table of content] 

Ⅰ. 보건의료와 제4차 산업혁명 Ⅱ. 간호 관련 로봇의 연구동향 Ⅲ. 간호 로봇에 대한 전망과 기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발행년 2010 

  • 조회 수 422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2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422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발행년 2019 

  • 조회 수 421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1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발행년 2014 

  • 조회 수 42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발행년 2017 

  • 조회 수 420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말기암환자 가족을 위한 돌봄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정석

발행년 2006 

  • 조회 수 420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발행년 2011 

  • 조회 수 420

1 윤리학 죽음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탐구 : 케이건(Shelly Kagan)과 몰트만(Jürgen Moltamm) 비교와 케이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 송화준

발행년 2015 

  • 조회 수 420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살위기개입 업무수행 경험에 대한 연구 / 노승현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41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 Mouse 제작 기술의 개발 / 전지선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발행년 2009 

  • 조회 수 419

1 윤리학 새로운 치료법 도입과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한 연구 / 신정원

발행년 2011 

  • 조회 수 419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Beauchamp과 Childress의 관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홍소연

발행년 2005 

  • 조회 수 419

15 유전학 연구논단 : DNA데이터베이스와 프라이버시권: 사회안전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김혜경

발행년 2014 

  • 조회 수 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