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76192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

=Establishment of patient-derived xenograft models for translational research platform of personalized cancer therapeutics


  • 저자[authors] 박혜지

  • 발행사항 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vi, 38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최은경<br>참고문헌 : p. 37-3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울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 암,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맞춤형 치료,중개연구

  • 소장기관[Holding] 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초록[abstracts]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며, 암 종별 사망 순위 1위는 폐암이고 다음으로 간암, 위암, 대장암 순이다.  이들 암 종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범 세계적으로 새로운 방법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 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효과적인 암 치료기술 연구개발을 더디게 하는 가장 큰 걸림돌은 개개인의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암의 특성과 이에 기인한 치료 반응성의 차이이며, 이를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연구모델의 개발과 활용을 통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의 환자 개별적 다양성을 극복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의 강력한 공략법을 확립하고자 환자의 암 조직을 마우스에 이식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암 (patient-derived xenograft (PDX) tumor) 모델 들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암 중개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PDX는 환자의 암 미세환경을 그대로 보존하며 환자 개개인의 암 특성을 대변하는 모델로써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을 비롯한 암 연구의 전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모델로 인정 받고 있으며 그 관심과 가치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인 암 종별 사망 순위 상위 4대 암인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의 PDX 모델 구축을 위하여 폐암 79 cases, 간암 109 cases, 위암 106 cases, 대장암 45 cases를 포함하여 총 339 cases를 NOD/SCID mouse에 이식하였으며, PDX tumor가 폐암 16 cases, 대장암 16 cases, 위암 35 cases, 간암 9 cases에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22.4%의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NOD/SCID mouse에서 형성된 PDX tumor를 BALB c/nude mouse에 2차 이식을 한 경우 tumor 형성 성공율은 46 %였다. 많은 양의 PDX tumor 조직 확보, 환자 암 조직과 PDX tumor 간의 상동성 검증, 적합한 모델 형성의 계대 이식 횟수 한계를 판정하고자 계대 이식을 7차까지 지속하였으며, 각 passage마다 H&E staining을 통한 조직학적 분석, finger pringing과 mutation analysis를 통한 유전학적 상동성을 검증하였다. 잉여 PDX 암 조직을 동결보관 하였다가 필요 시 해동하여 재이식 할 수 있는 효   율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암 조직 동결 및 재생에 관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 하였다. 또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중개연구 도구로써 PDX모델의 가치 평가와 활용도 확대를 위하여 각 case별로 종양성장 곡선 작성, 방사선 치료 반응성 평가, 기존 또한 신규 항암제 반응성 평가, biomarker 발굴 및 검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관한 결과를 활용 예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DX 모델 구축에 관한 standard of protocol (SOP)이 확립되었으며, 구축된 PDX 모델들은 암 중개연구의 전천후 도구로써 활용되어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 요약 i

약어 목록

차례 iv

그림 목차 v

표 목차 vi

서론 1

재료 및 방법 3

결과 11

고찰 33

Abstract  36

참고문헌    3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468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3467 14 재생산 기술 프랑스 비밀출산제도(l`accouchement secret)의 현황/이지은 2015  374
3466 15 유전학 생물다양성협약과 부속의정서에서의 정보공유체계 비교 연구 -나고야의정서 ABS Clearing House를 중심으로-/류예리 2015  374
3465 18 인체실험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이민규, 류화신 2015  374
3464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3463 15 유전학 정신질환의 유전학적 연구 : 정량적 유전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론 / 주은정 2000  373
3462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 19 장기 조직 이식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박혜지 2014  372
346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459 2 생명윤리 <연가시>에 재현된 생명정치 : 초국적 자본 그리고 새로운 주권 / 김재철 2013  372
3458 17 신경과학 뇌과학의 발전과 형법적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1) -뇌과학과 형법의 접점에 관한 예비적 고찰 / 탁희성, 정재승, 박은정 2012  372
3457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1
3456 16 환경 생태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김수향, 이승하 2016  371
3455 15 유전학 바이오뱅크 연구에서 포괄적 동의 / 이상목 2012  371
3454 15 유전학 인간배아줄기세포에서 조혈모세포로의 분화법 개발 / 김소정 2018  370
3453 1 윤리학 변호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연구 : 법적구성과 유형화를 중심으로 / 권혁종 2018  370
3452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
345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0
345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3449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