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539693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 
= Study on the autonomy of xenotransplantation clinical applications: talking point on public health vs. individual rights

  • 저자[authors] 모효정(Mo, Hyoj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2[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1-16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descriptor] 이종이식,임상적용,자율성,공중보건,개인의 권리,Xenotransplantation,Clinical applications,Autonomy,Public health,Individual right


초록[abstracts]
[자율성이란 개인의 선택을 방해하는 다른 사람의 통제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운 자기규제를 의미하기 때문에, 의료행위에서 자율성 존중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개인으로 인해 대중의 위험과 해가 예상된다면 개인의 권리는 제한될 수 있다.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는 인수공통감염병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연구대상자 및 이종이식 수여자에게 평생추적, 동의 철회 제한, 사후 부검, 조직 기증, 격리 등이 필수적으로 부과되며, 이러한 조치들은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를 침해하는 요인들이다.    이와 같이 공중보건을 위해 개인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은 공익 추구와 사회정의로써 정당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에 대한 합의와 근거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중보건에서 개인의 권리가 침해되는 것의 정당화 근거로 사전예방의 원리,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 관계적 자율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중보건을 위한 개인 권리의 제한은 개인의 이익과 공동체의 이익 사이의 긴장 그리고 개인의 자유와 공공의 안전 사이의 균형에서 그 합의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신종 전염병의 전파 가능성으로 인한 공중보건의 위협은 공중보건에 관한 새로운 윤리적 고찰을 더욱 요구한다.,

Respecting autonomy is an essential element in medical practice because it means free self-regulation that begins with limiting and controlling those who interfere with other individuals’ autonomous personal choices. However if there is a risk of danger to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of an individual, then this individual’s personal rights may be restricted. During xenotransplantation clinical applications, in the case of an outbreak of zoonotic diseases, it may be necessary to impose life-long surveillance, a waiver of right to withdraw, a post mortem, tissue donation, and isolation on human subjects. These types of measures are factors that violate the individual’s autonomy.    Therefore, the restriction of individual rights for public health is becoming a justification for social justice and the pursuit of the public interest. However, the basis of a mutual agreement on this issue is still lacking. This thesis researches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s well a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formed consent, and relational autonomy in public health. In conclusion, the restriction of individual rights for public health needs to find a middle ground that balances the tension between an individual’s freedom and the community’s safety. The progress of life science technologies and the occurr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will cause an increasing need for eth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public health.]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의료와 공중보건  Ⅲ. 이종이식과 공중보건  Ⅳ. 이종이식의 모니터링 시스템과 유사 법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48 9 보건의료 공공보건 역량강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론 / 김재용 2017  72
4147 9 보건의료 처방의약품의 온라인 거래에 관한 미국의 규제체제와 시사점 / 김재선 2017  72
4146 20 죽음과 죽어감 어린이죽음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 / 권수빈 외 2017  72
4145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2
4144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 개인정보보호 관련 몇 가지 쟁점에 관한 고찰 / 차상육 2017  72
41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연구개발사업 유형별 경제성평가항목 우선순위 도출 연구 /민희은 외 2017  72
4142 4 보건의료 철학 보건계열 학생의 환자안전 지식 및 수행 자신감 : 융복합적 접근 / 이미향 외 2019  72
414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그 영향에 대한 과학적 이해 / 이경전 2017  73
4140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ㆍ보호자와 의료인들의 호스피스에 관한 인지도 연구 / 심규미 2000  73
413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환자를 통해 보는 한국적 사생학 구축을 위한 연구 / 지영임 2017  73
4138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4137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생애말기 암 관련 의료비 발생 현황 분석 / 김혜림 2017  73
4136 2 생명윤리 바이오뱅크와 포괄적 동의 / 김문정 2012  73
413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 법안의 분석과 평가 : 입법학적 관점에서 / 홍완식 2009  73
4134 9 보건의료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 /이인정 2018  73
4133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의 과학기술보안규정과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보안제도 정책과의 비교 연구 / 강선준 외 2018  73
4132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시행의 의의와 과제 / 이상일 2016  73
»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3
4130 18 인체실험 시험적 의료행위에 관한 형법적 연구 / 정재우 2004  74
4129 5 과학 기술 사회 손잡고 따라가는 휴머노이드 로봇 제어기법 / 정유철, 한헌수 2009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