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47258 


 정신보건법 전면 개정에 따른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의 법적 고찰 

= Legal Considerations on A Mentally Ill Person as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of Medical Person with Full Revision of Mental Service Act



  • 저자[authors] 이세경(Lee, Segye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5No.2[2017]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4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결격사유,의료법,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보건법,정신질환자,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A Mentally Ill Person,Grounds for Disqualification,Medical Service Act,Mental Health Act



초록[abstracts] 


[이 논문은 정신보건법 전면개정과 관련하여, 의료법의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의 문제점을 살피고, 합리적인 개정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개정 법률)은 정신질환자의 인권 및 기본권 침해 요소 개선과 정신보건에서의 건강증진의 확대 시행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특별히 정신질환자의 정의를 정신질환자 중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대한 제약이 있는 사람’으로 한정하였다.    의료법의 관점에서 볼 때, 법의 목적과 관련하여 기존의 법 조항 중 가장 의미 있게 개정된 것이 제3조(정의) 1의 ‘정신질환자’의 정의 내용이다. 각종 보건의료법률이 결격사유가 되는 정신질환자의 범위를 이 조항에서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신질환자 정의 조항의 개정은 관련 법률 조항이 입법목적을 달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이러한 개정이 가져올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정 법률은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은 부칙을 통하여 해당 법률들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종전의 정신보건법」제3조제1호에 따른다.’라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기적 법률의 적용은 법적 안정성이나 개정 법률이 추구하는 입법목적을 고려할 때 가능한 빠른 시기에 종결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를 계기로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헌법이 보호고자 하는 직업선택의 자유와 건강권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신질환과 관련된 의료인 결격사유 조항의 개정을 다음의 네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개정 법률의 제3조 1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의료인 결격사유의 근거조항으로 인용하거나, 두 번째, 개정 법률의 제3조 7의 ‘정신질환자 또는 정신건강상 문제가 있는 사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규정을 적용하거나, 세 번째, 의료법 내에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에 관한 실체적 조항을 별도로 두거나, 네 번째, 의료법에서의 의료인 결격사유로서의 정신질환자 조항을 삭제하고, 개정 법률에 동법 제3조 1의 정신질환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조항을 두는 것이다., 


Mental Health Act was amended to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With the change of the name of the Act, the former Act are improved for human rights related to the admission of a mentally ill person and the definition of a mentally ill person is changed from ‘a patient suffering from mental illness (including an organic mental disorder), personality disorder, alcohol and drug addictions, and other non-psychopathic mental disorders’ to ‘a person who suffers serious restraints in conducting daily activities independently due to delusion, hallucination, a disorder in thought or mood, or any other cause.’    This amendment influences powerfully the other medical laws, because a ground for disqualification of the medical practitioner are based on the subparagraph. So the provision in the following is added to the new Act. “Notwithstanding the amended provisions of subparagraph 1 of Article 3, subparagraph 1 of Article 3 of the former Mental Health Act shall apply to the provisions of Medical Service Act”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Act should be ended as soon as possible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new Act and to protect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the right to health,    Therefore, I will review the definition of a mentally ill person and consider the directions of improving subparagraph on a mentally ill person as a ground for disqualification of the medical practitioner in Medical Service Act.]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의료법상 의료인 결격사유와 정신질환자 조항 검토  III. 의료인 결격사유의 근거가 되는 정신질환자의 이해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53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62
5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와 출산 간의 연계성에 관한 거시-미시 접근 / 김동식 외 2016  75
51 9 보건의료 의사의 설명의무 범위와 보건의료적 제언 / 정창우 2017  82
50 7 의료사회학 의료기술의 평가와 급여 결정 방향 / 박종연 2017  96
49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48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학에 있어 역사적 연구방법 / 박지용 2017  120
47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46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45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44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안전이슈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시스템 모형개발 / 김은정 외 2014  161
43 24 기타 주제전문사서로서의 정신보건사서 양성 교육과정 개발 / 임성관 2017  182
42 1 윤리학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 김유경 2017  185
41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6
40 15 유전학 바이오뱅크(Biobank)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법적ㆍ윤리적 쟁점에 관한 일고 / 이정현 2012  201
39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언론의 오보사례 분석 :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사례를 중심으로 / 김소윤 1999  207
38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37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3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국외단기보건의료활동에서 약사의 역할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비교제도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 조상은 2014  229
35 2 생명윤리 국내 생명의료윤리 전공자의 보건의료분야 진출 현황 / 구영모 2014  240
34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