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816822 



연명의료결정법,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Can a Humane Death be Realized? - A Consideration of Possibility through Hospice Philosophy



  • 저자[authors] 이은영(Lee, Eun You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연명의료결정법,호스피스 철학,인간다운 죽음,에디트 슈타인,환자의 주체성,치료의 대상에서 치료의 주체에로의 전환,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Hospice Philosophy,humane death,Edith Stein,the subjecthood of a patient,transition from the object of treatment to the subject of treatment



초록[abstracts] 

[연명의료결정법이 법제화되어 시행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필자는 인간다운 죽음, 품위 있는 죽음이 시대의 중요한 쟁점임을 강조하면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인간다운 죽음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인간다운, 품위있는 죽음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은 결국 육체에만 집중되는 육체집착적 치료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요인이 오늘날 무의미한 연명의료의 원인임을 규명한다. 그렇다면 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으로 인간다운 죽음은 실현될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필자는 첫째, 현재 시행 중인 연명의료결정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연명의료 중단대상 환자 범위를 통한 그것의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연명의료 중단대상 범위를 임종과정 환자로 제한시킴으로써 무분별한 연명의료중단의 확산을 방지하고, 또한 그것이 소극적 안락사의 간접적 허용과 구별시키기 위해서라는 점을 도출해낸다. 둘째, 그렇다면 연명의료중단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환자는 어떻게 인간다운 죽음을 실현시킬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논의를 필자는 연명의료결정법의 또 다른 한 축인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셋째, 우리가 호스피스 의료를 호스피스 돌봄 또는 호스피스 활동이라고 명명하는데, 필자가 지정하는 호스피스 철학이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과연 연명의료결정법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얼마나 유효한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결국 연명의료결정법은 한편으로는 죽을 권리 대신 생명 종료 시점을 결정할 권리로서 죽음에 임박한 상태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기 위하여 연명치료의 거부 또는 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의 인정임을 강조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근대의료가 도외시했던 환자의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환자의 주체성이 어떻게 실현될 것인지를 중요한 과제로 촉발시켰다고 필자는 판단한다. 종래의 의료가 삶의 연장에 중점을 둔다면 연명의료결정법은 환자를 단순한 치료의 대상이 아닌 치료의 주체로, 즉 ‘치료의 대상에서 치료의 주체에로의 전환’ 이라는 패러다임 전환의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Based on the fact that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s enacted, this study starts by emphasizing that a humane death, in other word, a dignified death is important issue of the time. So what is a humane death? What is a humane and dignified death that can protect human dignity when facing death? This question eventually criticizes the obsessive treatment that focuses only on physical body, and identifies this factor as the cause of point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If so, can humane death be realized by the enactmen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With this question in mind, this study first focuses on examining the main contents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nd then consider its problems through the scope of patients who are subject to interrup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process, a few points are drawn such as the necessity of limiting the scope of patients who are subject to interrup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those in the process of dying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indiscriminate medical service interruption and also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it from the indirect permission of passive euthanasia. Second, how can a patient who is not included in a life-sustaining treatment interruption realize a humane death? The arguments on this matter is discussed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other aspect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Third, we refer to the hospice medical care as ‘hospice care’ or ‘hospice activity,’ and this study considers how effective the paradigm of hospice philosophy designated in this study is featured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of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In conclusion,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has led to a new interest in the "subjecthood" of patients that had been neglected by modern medical care in Korea, and it has triggered an important task of how the patients’ subjecthood would be realized. If the conventional medical care focuses on the extension of life,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has provided a breakthrough of paradigm shift of a patient as the subject of treatment rather than simply someone to be treated, that is, the ‘transition from the object of treatment to the subject of treatment.’]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48 1 윤리학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의 요청 / 김광연 2016  2021
454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 김형숙 외 2014  2009
454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출산과 관련된 윤리적 법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김희수 2006  1999
4545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4544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4543 9 보건의료 보건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윤리 자문가를 중심으로 / 전효숙 2006  1959
4542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장기 이식과 개발에 관한 비판적 연구 / 박건일 2013  1893
4541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 안상희 2016  1872
4540 5 과학 기술 사회 AI(인공지능)과 IOT(사물인터넷)을 통한 Smart health Care Service 산업 활성화 방안 / 설민신 2016  1856
4539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538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현희 2012  1755
4537 22 동물복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칸트의 입장 / 김학택 2018  1752
4536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 고혜진, 윤창호, 정승은, 김아솔, 김효민 2014  1716
4535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4534 19 장기 조직 이식 Tissue Procurement System in Japan: The Role of a Tissue Bank in Medical Center for Translational Research, Osaka University Hospital 2010  1697
4533 20 죽음과 죽어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 / 정혜련 2007  1690
4532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의 조건이란? -사이언스 픽션 영화에 재현된 복제인간의 정체성 문제 / 천현순 2018  1688
4531 9 보건의료 병원윤리위원회의 기대 역할에 기반 한 윤리 딜레마 해결 모형 / 안유정 2002  1675
4530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5
4529 4 보건의료 철학 생명(生命), 신체(身體), 정신(精神) / 정창록 2018  1644